kernel
운영 체제의 기능 중에서 운영 체제를 구성하는 프로세스와 운영 체제의 제어 아래서 주행하는 프로그램에 대해 자원 할당(resource allocation)을 수행하는 부분. 중핵(nucleus)이 거의 같은 뜻으로 쓰이지만, 본래는 제어 프로그램 중에 주기억에 상주하는 부분을 가리킨다.
OS [Operating System]
컴퓨터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컴퓨터를 쓸 수 있게 만들어주는 프로그램을 말한다.
운영체제라고도 한다. 이 프로그램들은 하드웨어와 응용프로그램간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하면서 CPU, 주기억장치, 입출력장치 등의 컴퓨터 자원을 관리한다. 즉, 인간과 컴퓨터간의 상호작용을 제공함과 동시에 컴퓨터의 동작을 구동(booting)하고 작업의 순서를 정하며 입출력 연산을 제어한다. 또 프로그램의 실행을 제어하며 데이터와 파일의 저장을 관리하는 등의 기능을 한다.
현재와는 의미가 다르지만 최초의 운영체제는 IBM-701 컴퓨터의 사용을 위하여 제너럴 모터스(General Motors;GM) 연구소에서 1950년 초반 처음 개발되었다. 그 후 1955년에는 IBM-704의 운영체제가 NAA(North American Aviation)와 GM의 합작으로 개발되었다. 1959년 노스아메리카 항공사에서 개발한 Fortran Ⅱ 모니터는 오퍼레이터의 개입을 최소화하여 컴퓨터 시스템 조작의 자동화를 목표로 한 최초의 현대적 의미의 운영체제이다. 또 저속의 주변 입출력장치 때문에 주컴퓨터의 이용효율이 저하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위성 컴퓨터를 배치하여 주컴퓨터의 입출력은 고속의 자기 테이프 장치를 이용하도록 시스템을 구성하였다. 이들 시스템에서 입출력은 입출력제어 프로그램으로서 개발한 입출력제어 시스템(IOCS;input/output control system)이 쓰였다.
1964년 IBM사는 시스템/360을 발표하고, 1966년에는 OS/360 최초의 판이 사용 가능하였다. OS/360은 시스템/360 계열 전체에 이용하려 한 일괄처리용 운영체제로서 운영체제 개념의 명확화, 기능의 체계화가 이루어졌다. 그 이후 세그먼트 기법, 페이징에 의한 가상기억방식의 도입, 계층적 디렉터리를 갖는 파일링 시스템 등의 개념이 도입되면서 운영체제 개발이 급속히 진전되었다. 1980년대에는 개인용 컴퓨터가 보급되면서 개인용 컴퓨터 운영체제로 CP/M, MS-DOS, Windows 등이 개발되었으며, 슈퍼미니컴퓨터 ·워크스테이션용으로 이식성이 우수한 UNIX 시스템이 보급되었다. 또 VMS나 OS/2 등의 새로운 운영체제가 출현하였다.
UNIX
미국 벨(Bell) 연구소에서 개발된 소프트웨어 개발용의 운영 체제(OS). 유닉스는 1969년에 그 원형이 완성되었지만 1973년에 프로그램 대부분이 C 언어로 수정되었다. 이 때문에 이식성이 높아졌으며, 동시에 다중 사용자/다중 태스크의 실행을 지원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화형의 운영 체제이며, 텍스트 조작 툴, 문서 처리, 전자 메일 외에 취급이 쉬운 파일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당초에는 미니컴퓨터용이었지만 최근에는 퍼스널 컴퓨터나 범용 컴퓨터용의 유닉스도 개발되어 일반에게도 보급되기 시작했다. 최근에도 이러한 유닉스에 준한 기능을 갖춘 OS가 출현하였으며 이것을 유닉스라이크 OS(UNIX-like operating system)라고 한다.
SSH [Secure Shell]
[데이터통신]암호 통신을 이용해서 다른 컴퓨터에 접속한 다음 명령을 실행하거나 파일을 조작하기 위한 규약. 예를 들면, 텔레넷이나 원격 셸을 이용해서 원격지의 서버에 접속하면, 그 구간의 통신은 어카운트나 패스워드를 주고받는 것은 암호화되지 않으므로 악의를 가진 사용자에게 통신 내용을 도청당할 가능성이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암호화하는 것이다.
[통신망]보안 등급이 낮은 네트워크상에서 보안 등급이 높은 원격 접속 개시나 데이터 전송을 실현하는 규약. 이 규약에는 전송 계층 프로토콜, 사용자 인증 프로토콜, 연결 프로토콜 등 3종류가 있다. 전송 계층 프로토콜은 TCP/IP의 상위에서 사용하는 것으로, 암호화 데이터 전송이나 서버 인증 기능이 있다. 여러 종류의 암호 기술을 사용할 수 있고, 암호 키의 교환이나 이용하는 암호 기술의 교섭 방법이 정해져 있다. 사용자 인증 프로토콜은 SSH 트랜스포트층 프로토콜의 상위에서 동작한다.
ALU [ Arithmetic and Logic Unit ]
- 중앙처리장치 속에서 연산을 하는 부분을 ALU라고 한다. 이것은 산술연산과 논리연산을 하는 유닛이다.
문자 등의 데이터를 구성하는 한 조의 비트를 정리하여 동시에 보내는 것. 퍼스널 컴퓨터의 프린터에는 이 방법을 취하고 있는 것이 많다. 이 방식의 결점은 전송 케이블을 여유 있게 길게 하지 않는 것이다. 이것과 대비되는 방식이 직렬 전송(serial transmission)이다.
[주] 문자 또는 그 밖의 데이터를 표시하는 신호 엘리먼트군(群)의 동시 전송.
SP
① serial printer 직렬 프린터
② space 공간
③ space character 간격 문자
④ stack pointer 스택 포인터
⑤ structured programming 구조화 프로그래밍
⑥ symbol programmer 기호 프로그래머
⑦ system processor 시스템 프로세서.
SCM [Supply chain Management]
① simulation cost model 시뮬레이션 비용 모델
② software configuration management 소프트웨어 구성 관리
③ Society for Computer Medicine 컴퓨터 의학 학회
④ supply chain management 공급 사슬 관리.
UDP [User Datagram Protocol]
인터넷과 같이 실제의 물리적 접속이 없는 통신 환경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프로토콜.
인터넷에서 정보를 주고받을 때, 서로 주고받는 형식이 아닌 한쪽에서 일방적으로 보내는 방식의 통신 프로토콜이다.
UDP는 사용자 데이터그램 프로토콜(user datagram protocol)의 줄임말이다. 인터넷상에서 서로 정보를 주고받을 때 정보를 보낸다는 신호나 받는다는 신호 절차를 거치지 않고, 보내는 쪽에서 일방적으로 데이터를 전달하는 통신 프로토콜이다. 보내는 쪽에서는 받는 쪽이 데이터를 받았는지 받지 않았는지 확인할 수 없고, 또 확인할 필요도 없도록 만들어진 프로토콜을 말한다.
인터넷 아이콘을 누르는 것과 동시에 자동적으로 중앙컴퓨터 서버와 연결되어 정보를 보내는 쪽과 받는 쪽이 서로 의사소통을 할 수 있도록 설계된 통신 프로토콜인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와 상대되는 개념이다. 예를 들어 이메일을 주고받을 때 '수신 확인'을 통해 상대방이 메일을 읽었는지 읽지 않았는지를 알 수 있는 것은 송수신측이 서로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처럼 송수신측이 서로 데이터를 주고받는 방식이 TCP이고, 수신측이 데이터를 보든 상관없이 송신측에서 데이터만 전달하면 되는 방식이 UDP이다. 즉 UDP는 수신측과 접속 절차를 거치지 않고 송신측에서 일방적으로 데이터를 보내는 방식으로, 이러한 서비스를 무관계(無關係) 서비스라 하고, 이 무관계 서비스의 통신규약이 UDP이다.
따라서 UDP는 TCP와 달리 데이터의 수신에 대한 책임을 지지 않는다. 이는 송신자는 정보를 보냈지만, 정보가 수신자에게 제때에 도착했는지 또는 정보 내용이 서로 뒤바뀌었는지에 관해서 송신자는 상관할 필요가 없다는 말이다. 또 TCP보다 안정성 면에서는 떨어지지만, 속도는 훨씬 빠르다.
Narrow Band
데이터 통신에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 중에서 음성 신호에 비해 대역폭이 좁은 대역. 소량의 데이터만을 전송할 수 있다.
i-Mode
일본에서 제공되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의 한 가지. 1990년부터 일본 NTT 도코모사가 제공하는 이동 통신 서비스로서 휴대폰 단말기보다 3-4배 정도 큰 액정 화면의 아이모드용 단말기를 사용하여 정보 검색, 전자 우편 송수신, 채팅 등은 물론이고 게임, 영화, 연예 정보, 티켓 구입, 쇼핑, 금융, 음악 다운로드 등이 가능하며, 다양한 컬러가 표현되는 액정 화면을 가지고 있다. 사용 언어는 하이퍼텍스트 생성 언어(HTML)의 축약형인 cHTML이며, 기존 웹 사이트를 자유자재로 접속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접속 방법도 웹 사이트 주소를 일일이 입력하는 대신 단축 버튼을 사용하므로 간편하다. 다만 다른 통신 방식과는 작동되지 않고 같은 서비스 장비에서만 가능하다.
Cracker
다른 사람의 컴퓨터시스템에 무단으로 침입하여 정보를 훔치거나 프로그램을 훼손하는 등의 불법행위를 하는 사람. 해커와는 구분하여야 한다.
침입자(intruder) 또는 공격자(invader)라고도 하며, 소프트웨어를 불법으로 복사하여 배포하는 사람을 가리키기도 한다. 고의 또는 악의적으로 다른 사람의 컴퓨터에 불법적으로 침입하여 데이터나 프로그램을 엿보거나 변경하는 등의 컴퓨터범죄 행위를 저지르는 지능범을 가리킨다. 컴퓨터네트워크의 보급과 이용이 확대되면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한국에서는 이러한 컴퓨터 범죄에 대하여 해커와 크래커를 혼동하여, 해커를 컴퓨터 범죄자의 의미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해커는 정보의 공유를 주장하는 고도의 컴퓨터 전문가로서 컴퓨터프로그램의 발전에 기여한 긍정적인 측면이 있는 반면에, 크래커는 악의적으로 범죄의 수단으로서 해킹 기술을 이용한다는 차이점이 있다. 이 때문에 해커들은 크래커를 자신들과 구별하여 '위험한 해커(dangerous hacker)'라는 뜻의 영어 글자를 따서 '데커(decker)'라고 부르기도 한다.
크래커는 이익을 추구하기도 하지만, 악의적이고 이기적인 목적, 특히 보안시스템에 대한 도전으로 불법행위를 자행하는 경우가 많다. 이에 대하여 당사자들은 어떤 컴퓨터시스템의 보안이 취약하다는 것을 지적하기 위하여 하는 일이라고 주장하기도 하지만 범죄행위일 뿐이다.
이들은 공항 관제탑이나 발전소의 정보 시스템에 침입하여 가동을 중단시키고, 군사위성에 침투하기도 한다. 또 식품회사의 제조공정을 변경하여 독극물이 든 식품으로 변조하는가 하면, 경쟁 기업에 침투하여 극비에 속하는 개발정보를 빼내 판매하기도 한다. 이밖에 인터넷 홈뱅킹 관련자료를 입수하여 몰래 만들어 둔 가공의 계좌로 남의 돈을 이체한 예도 있다.
'Common Knowledge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식사전] 이집트 무르시 대통령 퇴진, 아랍의 봄 (0) | 2013.07.05 |
---|---|
[상식사전] 그레이코드 변환 (0) | 2013.07.04 |
[상식사전] PCS, IMT-2000, CSMA/CD, 그룹웨어, 온톨로지,RAID, SOAP,DES (0) | 2013.07.04 |
[상식사전] SSL, SRAM, Mission Critical, Clustering, QoS, TDM, NIC (0) | 2013.07.03 |
[상식사전] WIPI, Telematics, IEEE 1394, DMB, Apache, FDDI, 인터넷 2 (0) | 2013.07.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