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ommon Knowledges

[상식사전] WIPI, Telematics, IEEE 1394, DMB, Apache, FDDI, 인터넷 2

WIPI [Wireless Internet Platform for Interoperability, 위피]

한국형 무선인터넷 플랫폼의 표준 규격이다.

위피는 영어 'Wireless Internet Platform for Interoperability'의 머리글자를 딴 것이다. 이동통신 업체들이 같은 플랫폼을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국가적 낭비를 줄이자는 목적으로 2001년부터 국책사업으로 추진되기 시작하였다. 무선인터넷플랫폼이란 이동전화 단말기에서 퍼스널컴퓨터의 운영체계(OS)와 같은 역할을 하는 기본 소프트웨어를 말한다.

한국의 이동통신 업체들은 그동안 회사마다 각기 다른 방식으로 무선인터넷 플랫폼을 만들어 사용하였기 때문에 콘텐츠제공업체들도 같은 콘텐츠를 여러 개의 플랫폼으로 만들 수밖에 없었다. 따라서 콘텐츠 제작과 서비스에 따르는 여러 가지 불필요한 낭비 요소가 발생하였는데, 위피는 국가적인 차원에서 이러한 낭비 요소를 줄일 목적으로 탄생한 것이다.

한국무선인터넷표준화포럼(KWISF)의 모바일 플랫폼 특별 분과에 소속되어 있으며 SK텔레콤(주)·KTF(주)·LG텔레콤(주)삼성전자(주), LG전자(주), ETRI, TTA, 전파연구소가 정회원으로 가입되어 있다.

2003년 6월 LG전자(주)에서 처음으로 위피를 적용한 휴대폰이 출시되었고, 이보다 앞서 정보통신부와 이동통신업계는 위피를 국제 표준으로 만들기 위해 2002년 6월 국제무선인터넷표준화기구(OMA)에 국제 표준으로 제안하였다. 2.0 버전은 위의 기관들 외에 지어소프트(주)·이노에이스(주)·IBM·아로마소프트(주)·모토로라·베텔시스템 등 국내외 60여 개의 기업이 플랫폼 엔진 및 단말기 제조, 콘텐츠의 연구 개발에 참여하였다.

2004년 2월 자바표준화단체(JCP)의 표준규격인 CLDC/MIDP와 완전한 호환성을 갖춘 2.0 버전을 완성하였다. 2005년 4월 1일부터 전기통신설비의 상호접속기준 고시에 따라 신규 출시되는 모든 단말기에 위피가 의무 탑재되었으나 2009년 4월 1일부터 위피의 의무탑재제가 폐지되었다.

Wi-fi

:WI-FI(IEEE 802.11b High Rate)란 하이파이(Hi-Fi, High Fidelity)에 무선기술을 접목한 것으로, 고성능 무선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무선랜 기술.


무선 랜이란 네트워크 구축시 유선을 사용하지 않고 전파나 빛등을 이용하여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방식으로 일명 「와이파이」(Wi-Fi)라 불리는 802.11B(IEEE 802.xx는 IEEE의 LAN에 대한 일련의 규격)는 3Com, 시스코 시스템즈(Cisco Systems), 애플(Apple Computer), 루슨트 테크놀러지(Lucent Technologies) 등에서 제안하고 있는 무선 표준이다.

이들은「무선 이더넷 호환성 연대」(Wireless Ethernet Compatibility)라는 조직을 결성, 소비자들이 가정용 컴퓨터를 무선 네트웍으로 연결하여 단일한 인터넷 접속을 공유할 수 있는 네트웍 장비를 개발하고 있다. 

2.4GHz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고 있으며, 1999년 9월에 무선 LAN 표준으로 승인되었다.

이 기술을 이용하면 노트북 컴퓨터를 집 주위에서 무선으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 고속 기술을 이용하면 5대 이상의 PC를 연결하고 큰 파일이나 그래픽, 비디오 및 오디오를 전송할 수 있게 된다. 

무선 이더넷은 초당 11Mbps의 속도를 제공하며 최적의 조건에서는 반경 500m안에는 어디에서든지 사용할 수 있으며, 가정이나 직장 어느 곳에서든 사용할 수 있다.

무선 허브를 스위치에 연결시킨 뒤 방화벽과 케이블 모뎀에 연결만 하면 사용 준비가 끝나는 것. 무선 허브에는 안테나가 부착돼 있어 설치장소를 잘 선택해야 한다.


텔레메틱스 [Telematics]
:자동차와 무선통신을 결합한 새로운 개념의 차량 무선인터넷 서비스.

텔레커뮤니케이션(telecommunication)과 인포매틱스(informatics)의 합성어로, 자동차 안에서 이메일을 주고받고, 인터넷을 통해 각종 정보도 검색할 수 있는 오토(auto) PC를 이용한다는 점에서 '오토모티브 텔레매틱스'라고도 부른다.

운전자가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차량을 원격 진단하고, 무선모뎀을 장착한 오토 PC로 교통 및 생활 정보, 긴급구난 등 각종 정보를 이용할 수 있으며, 사무실과 친구들에게 전화 메시지를 전할 수 있음은 물론, 음성 이메일을 주고받을 수도 있고, 오디오북을 다운받을 수도 있다.

미국의 제너럴 모터스(GM)와 모토롤라의 합작회사인 온스타(On-Star)가 이 분야의 선두주자로, 이미 위성항법시스템(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을 이용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포드-퀄컴, 벤츠-도이치텔레콤 등 자동차메이커와 이동통신 전문업체 간의 합작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한국도 텔레메틱스 서비스 개발을 위해 자동차 회사와 이동통신업체 간의 협력이 활발해 현대·기아자동차는 LG텔레콤과 무선차량 정보서비스 개발을 위한 전략적 제휴를 체결하였고, 대우자동차는 한국통신프리텔과 손잡고 이동통신과 위치추적기술을 접목한 드림넷 서비스 제휴를 체결하였다.

이처럼 텔레메틱스 서비스는 자동차 메이커와 이동통신업체 간의 합작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서비스 형태에 따라 뉴스수신, 주식투자, 전자상거래, 금융거래, 호텔예약, 팩시밀리 송수신, 게임, 차량 사고 및 도난 등 다양한 서비스가 가능하며, 특히 교통사고가 났을 경우 GPS위성을 이용해 자동적으로 사고차량의 위치를 추적, 가장 근접한 119구조대에 전달해 줌으로써 구난 활동에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Ultra DMA
: Ultra ATA 규격에서 채용된 IDE의 전송 모드. 최대 전송 속도 33MB/초로, 8 Ultra DMA/33이라고도 한다. 최대 전송 속도 66MB/초의 전송 모드를 가진 Ultra DMA/66이 현재 책정중이다.

웹 스피어 [WebSphere]
: IBM사의 웹 서비스 전략의 하나로, 자바(Java) 기반의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트랜잭션 관리, 보안, 클러스터링, 기능성,가용성연결성, 확장성에 이르는 완전한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세트를 구비하고, 개방형 테크놀로지와 API들을 활용하는 동시에 기업 전반의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관리와 통합을 지원한다. 고객 프로파일 정보, 거래 데이터, 고객 선택 정보 등 개인화된 정보를 기반으로 고객의 취향과 기호에 맞는 상품과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e-비즈니스 사이트 구축을 지원하며, 강력한 개인화 지원 엔진을 구비한 소프트웨어 플랫폼을 통해 운영 환경 범위 확장과 더불어 e-비즈니스뿐 아니라 인트라넷엑스트라넷, SCM 등 다양한 비즈니스 환경에서 외부 고객 외에도 내부 직원까지를 대상으로 하고 있다.

DDR mode [DDR 모드]
동기식 동적 램(SDRAM)을 고속으로 동작시키기 위한 동작 모드. 클록 신호의 시작점과 끝점에 동기되어 데이터를 전송하며 데이터 전송량을 2배로 늘려 고속화할 수 있는 기술 규격이다. EDORAM이나 SDRAM 등의 표준화를 위해서 1998년 국제 표준화 기구인 JEDEC(Joint Electron Device Engineering Council)에서 채택한 고속 기억 장치 기술의 하나이다. 한국, 미국, 일본 등 11개 업체들이 오픈 포럼을 결성하고 기술과 정보를 교환해서 기술 규격을 발표하였다. 예를 들면, 125MHz 동락품을 64비트 폭의 기억 장치 버스에 접속하면 데이터 전송 속도는 최대 2Gbps로 된다. 이것이 기존 SDRAM의 2배로 되므로 2배의 전송 속도(double data rate)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IEEE 1394

USB와 같은 새로운 시리얼 버스 규격. 미국의 애플사와 텍사스인스트루먼트사가 공동으로 디자인한 파이어와이어(Firewire)를 미국의 전기전자기술자협회인 IEEE에서 표준화한 것이다. 수 년 동안 PC는 주변 장치를 효율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기 위해서많은 노력을 기울여 왔는데, 이러한 노력의 결과 기존의 PC 입출력 버스를 대체할 수 있는 USB와 IEEE 1394 시리얼 버스가 개발되었다. USB의 속도가 12Mbps인데 반해 IEEE 1394는 100Mbps, 200Mbps, 400Mbps의 속도를 가진다. 따라서 USB는 저속 주변장치를 위한 인터페이스로 사용되며, IEEE 1394는 하드디스크, 그래픽카드 같은 고속 주변장치까지 포함한다. IEEE 1394는 특정 응용 분야에서는 매우 성공적으로 진행되고 있다고 한다. 예를 들어서 디지털 캠코더와 관련 장비에서는 이것이 사실상의 표준으로 사용되고 있다.


OpenGL

2D와 3D를 정의한 컴퓨터 산업 표준 응용 프로그램 인터페이스(API). 작도나 특수 효과를 내는 일련의 수행 명령어를 기술한 것으로 반복 효과를 낼 수 있고 각 운영 체계(OS)의 독립된 윈도 기능에 해당 시스템의 윈도 환경에서 동작할 수 있도록 각 OS별로 특수 ‘접속(glue)’ 루틴을 제공한다. 오픈 GL이 API를 통해 호출할 수 있는 내장 기능에는 숨은 면 제거, 투명화, 반 에일리어싱텍스처 매핑, 픽셀 조작, 변형을 위한 모델링, 대기 효과(안개, 연기, 아지랑이 등) 등의 기능이 포함된다.


KMS [ Knowledge Management System , 知識管理─, 지식관리시스템 ]

조직 내의 인적자원들이 축적하고 있는 개별적인 지식을 체계화하여 공유함으로써 기업 경쟁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업정보 시스템.


기업의 환경이 물품을 주로 생산하던 산업사회에서, 지적 재산의 중요성이 커지는 지식사회로 급격히 이동함에 따라, 기업 경영을 지식이라는 관점에서 새롭게 조명하는 접근방식이다.

지금까지 기업정보 시스템은 기업 내외의 정형화된 정보만을 관리해 왔다. 재무, 생산, 영업 등 기업활동에서 발생하는 수치 데이터를 저장, 관리하는 것이 정보시스템의 역할이었고 실제 판단을 하고 의사결정을 내리는 것은 기업 내 인적 자원이 수행하는 것 이었다. 그러나 의사결정의 주체인 인적 자원이 떠나면 그가 갖고 있던 지식 자원도 함께 떠나가고 기업의 지적 자원이 소실된다는 관점에서 지식관리 시스템은 출발했다.

인적 자원이 개별적으로 보유하고 있는 지식은 비정형의 형태로 존재한다. 즉 기업 내 각 개인들은 자신의 지식을 각종 문서로 작성 보유하고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관련 업무 담당자와 의사교환을 하고 이러한 활동을 기반으로 최종 판단을 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지식관리 시스템의 기본 개념은 인적 자원이 소유하고 있는 비정형 데이터인 지적 자산을 기업 내에 축적·활용할 수 있도록 하자는 것이다. KMS는 원래 미국 카네기멜론대학교의 ZOG 연구결과에 기반을 두고, 놀리지시스템스(Knowledge Systems)에서 개발한 워크스테이션용 상용 시스템의 이름이었다.


DMB [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

DMB(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는 음성·영상 등 다양한 멀티미디어 신호를 디지털 방식으로 변조, 고정 또는 휴대용·차량용 수신기에 제공하는 방송서비스(위피 기반)로, '손 안의 TV'라고 불린다. 디지털 라디오용 기술인 DAB(Digital Audio Broadcasting)에 바탕을 두고 있으며, 여기에 멀티미디어 방송 개념이 추가되어 동영상과 날씨·뉴스·위치 등 데이터 정보를 추가로 보낼 수 있는 서비스이다. 이동 중에도 개인휴대단말기나 차량용 단말기를 통해 CD·DVD급의 고음질·고화질 방송을 즐길 수 있어 차세대 방송으로 주목받고 있다. 위성DMB와 지상파DMB 두 종류가 있다. ① 위성DMB : 위성DMB용 방송센터에서 프로그램을 위성으로 송출하면 위성은 이를 전파를 통해 전국의 DMB단말기에 뿌려주는 형식이다. 위성DMB는 SK텔레콤이 2002년부터 일본 MBCo와 사업협력 계약을 맺고 위성DMB 사업을 추진하기 시작했다. 2004년 3월에는 SK텔레콤과 MBCo간 공동으로 사용할 위성 '한별'을 쏘아올렸다. 현재 위성DMB사업권을 획득한 업체는 SK텔레콤을 중심으로, 삼성전자 등 150개 업체가 참여해 설립한 'TU 미디어'란 회사가 유일하다. 'TU 미디어'는 2005년 1월 10일부터 위성DMB 시험방송을 시작했고 5월1일부터 본 방송을 시작했다. ② 지상파DMB : 지상에서 주파수를 이용하여 프로그램을 전송한다. 따라서 현재 비어있는 VHF 12번 채널과 군사용인 8번 채널을 이용한다. 또 위성DMB와 달리 지상의 기지국을 통해 방송신호가 송출된다. 2005년 1월10일 지상파DMB 사업자군에 대한 허가추천 신청서류 접수 마감 결과, 모두 10개 법인이 참여했다. 그중 6개 업체가 사업자로 선정되었다. 선정된 업체 가운데 지상파 TV 사업자군에서는 KBS, MBC, SBS 3개 방송사가, 비지상파TV 사업자군에서는 KMMB, 한국DMB, CBS, YTN DMB 등 3개 컨소시엄이 선정됐다. 지상파 DMB는 2005년 2월 본방송을 개시했다.


아파치 [Apache]

고성능의 하이퍼텍스트 전송 규약(HTTP) 서버. 미국 일리노이 대학의 전미 슈퍼컴퓨터 응용 연구소(NCSA)에서 만든 ‘NCSA-httpd 1.3’이라는 전시용 프로그램을 근거로 기능 추가와 개량을 거듭해서 개발된 프로그램이다. CERN(European Particle Physics Laboratory) 등에 비해 기억 장치 관리가 확실하여 프로그램 본체가 간편하게 되어 있으며, 모듈 기능을 추가 또는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확장성이 높고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어 각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1995년 처음 발표된 월드와이드웹(WWW:World Wide Web) 서버용 소프트웨어이다. NCSA(National Center for Supercomputing Applications:미국국립수퍼컴퓨터활용센터) 소속 개발자들이 개발한 NCSA httpd 1.3 웹서버를 자신들이 개량한 것으로 소스코드까지 공개되고 있다.

NCSA httpd 1.3 서버에 패치(patch)파일을 제공했던 개발자들이 'A PAtCH server'라는 용어에서 아파치라는 이름을 따왔다. 1995년 3월 18일 공개된 아파치0.2가 NCSA httpd 1.3에 패치파일을 제공하였다.

패치파일을 꾸준히 개선해 제공하고 있으며, 최고 수준의 성능을 발휘하기 때문에 월드와이드웹 서버용 소프트웨어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오픈소스(open source) 라이선스에 따라 무료로 배포되어 원하는 사람들이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 유닉스·윈도 등을 비롯해 거의 모든 운영체제와 시스템에서 운용이 가능하다.

아파치소프트웨어재단(Apache Software Foundation)이라는 단체가 오픈소스 프로젝트의 아파치 커뮤니티를 지원하고 있다. 이 재단은 아파치 인큐베이터 프로젝트·아파치 앤트 프로젝트 등의 아파치 프로젝트를 진행중이다.

시맨틱 웹 [Semantic Web]

현재의 인터넷과 같은 분산 환경에서 리소소(웹 문서, 각종 화일, 서비스 등)에 대한 정보와 자원 사이의 관계-의미 정보 (semantics)를 기계(컴퓨터)가 처리할 수 있는 형태로 표현하고, 이를 자동화된 기계(컴퓨터)가 처리하도록 하는 프레임워크이자 기술이다. 시멘틱은 기계끼리 대화를 주고받는 것으로, 웹을 지능형으로 만들어, 컴퓨터들이 웹상의 모든 데이터와 콘텐츠, 링크들을 분석해 인간과 컴퓨터 간의 대화를 처리하는 것이다. 이미 우리 주변에는 시멘틱웹이 존재하고 있는데, RDF, OWL, 마이크로포맷 등이 그 중 일부이다. 그러나 전 세계 모든 정보에 주석을 달고, 개인 정보를 올바른 방식으로 캡처하기까지는 많은 시간이 걸릴 것이다. 하키아, 파워셋, 어답티브블루를 비롯한 일부 기업들은 시멘틱웹 구현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IS [ International Standard ]

:국제 표준


ASP [Application Service provider]

소프트웨어를 패키지 형태로 판매하지 않고 일정한 요금을 받고 인터넷을 통해 임대해 주는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제공업체, 즉 웹애플리케이션 호스팅 서비스를 하는 사업을 말한다. 웹애플리케이션 호스팅서비스는 인터넷과 같은 통신망을 통해 전사적자원관리(ERP), 제품정보관리(PDM), 그룹웨어전자상거래(EC), 전자문서교환(EDI) 등 하이엔드 애플리케이션은 물론 오피스 제품 등을 빌려주는 것이다. 일정 기간만 사용하거나 너무 많은 유지보수 비용이 들어 구입하기에는 다소 부담스러운 소프트웨어를 매월 요금을 받고 빌려준다. ASP를 이용할 경우 고객들은 비싼 돈을 주고 소프트웨어를 구입할 필요가 없으며 매번 업그레이드를 위한 추가 비용을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

ASP는 프로그램 제공업자, 네트워크 제공업자, 보안관리 사업자, 데이터베이스(DB) 사업자, 포탈 사업자 등으로 구성된다. ASP사업을 활성화시키려면 프로그램 제공업자 외에 기밀정보를 안전하게 관리해 주는 보안관리 사업자의 역할이 중요하다. 최근 통신업체, 시스템 통합(SI)업체, 대형 정보기술(IT)업체, 중소전문 업체들이 잇따라 이 시장에 참여하면서 IT분야의 차기 성장사업으로 부상하였고 IBM, 마이크로소프트, 오라클, SAP 등 주요 IT 업체들이 선두경쟁을 벌이고 있다.


OODBMS [object-oriented data base management system 객체 지향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OOP) 기술을 채택한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RDBMS)보다데이터 모델이 단순하고 구조가 유연하여 컴퓨터 설계/제조(CAD/CAM)나 멀티미디어 응용 분야를 중심으로, 차세대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으로 주목받고 있다. 객체 지향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OODBMS)에 대한 명확한 정의는 아직 확립되지 않았으나, 그 특징은 다음과 같다. ㉠복잡한 데이터(객체)를 쉽게 모델링할 수 있다. ㉡데이터마다 다른 조작 방법으로 데이터베이스 측에서 관리할 수 있다. ㉢특정 객체 간에는 데이터와 그 조작 방법을 공유(승계)할 수 있다. 주요 OODBMS로는 Objectivity/DB(미국 오브젝티비티사), Objective Store(미국 오브젝티브 디자인사), Ontos(미국 온토 로직사), PERCIO(일본 NEC사) 등이 있다.


다차원 데이터베이스 [ multidimensional database , 多次元- ]

:복수의 속성 목록(屬性目錄)으로 분류해서 데이터를 검색, 집계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 예를 들면, 차원(次元)에는 기간별, 상품별, 지역별, 담당자별로 항목이 할당될 수 있다. 올랩(OLAP)을 위한 데이터베이스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다차원 데이터베이스는 슬라이싱(slicing)과 다이싱(dicing)에 의해 데이터를 여러 각도로 표시, 분석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벤더 간 호환성은 없으며 데이터 용량도 비교적 소량으로 제한되어 있다.


FDDI [ fiber distributed data interface ]

:LAN과 LAN 사이 혹은 컴퓨터와 컴퓨터 사이를 광섬유 케이블로 연결하는 고속 통신망 구조이다.


전송매체로 광섬유 케이블을 사용하도록 설계된 링 구조의 통신망으로, 네트워크 액세스를 제어하기 위해 토큰 전달방식을 사용한다. 액세스 방식으로 4M/16Mbps의 토큰 링 방식을 개량한 어펜드 토큰 패싱 방식을 사용한다. ANSI(미국규격협회)의 X3T9.5가 표준화되었고 ISO(국제표준화기구) 규격으로 승인되었다.

FDDI는 한 빌딩 내의 간선 LAN으로 사용되거나 컴퓨터 사이를 고속으로 접속하는 데 주로 사용한다. 간선 LAN의 경우, FDDI 인터페이스를 갖춘 라우터나 브리지, 집선장치로 링형 LAN을 구성한다. 워크스테이션 등의 컴퓨터를 FDDI에 직접 접속할 때는 FDDI 어댑터 보드를 사용한다.

특징으로는 광섬유 케이블을 사용하기 때문에 단일 또는 다중 모드의 광섬유 케이블 모드를 지원한다. 링 터폴러지를 사용하지만 이중 링형을 이용하여 통신망이 한꺼번에 단절되는 경우를 방지한다. 토큰 전달을 사용하며 추가로 빠른 전송을 위해 다중 프레임 기능을 옵션으로 선택할 수 있고 전송속도는 약 100Mbps에 달한다. 주황색의 광섬유 케이블을 사용하기 때문에 쉽게 눈에 띈다. 파일 서버와 LAN을 결합한 백본 기술이 주로 사용된다.

OLAP [ online analytical processing ]    

online analytical processing의 약어. 정보 위주의 분석 처리를 의미하며, 다양한 비즈니스 관점에서 쉽고 빠르게 다차원적인 데이터에 접근하여 의사 결정에 활용할 수 있는 정보를 얻을 수 있게 해주는 기술. OLTP에서 처리된 트랜잭션 데이터를 분석해 제품의 판매 추이, 구매 성향 파악, 재무 회계 분석 등을 프로세싱하는 것을 의미한다. OLTP가 데이터 갱신 위주라면, OLAP는 데이터 조회 위주라고 할 수 있다.


인터넷 2 [Internet 2]

미국의 120여 개 대학교가 참가하는 차세대 인터넷 프로젝트. 미국 정부 주도의 차세대 인터넷 발의안(NGII)과는 달리 고도의 연구·교육 현장 용도에 적합한 인터넷 기술 개발이나 응용을 목적으로 한다. 인터넷 프로토콜의 차기 버전인 IPv6이나 QoS(quality of service)의 선행적인 활용 외에 원격 교육, 의료, 기상 분석 등 고도 응용 분야의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1996년 10월 34개 대학교가 프로젝트를 발족시켰고 현재 UCAID(University Corporation for Advanced Internet Development)가 주체가 되어 추진하고 있으며, 통신 기기 제작자나 통신 사업자 등도 참가하고 있다. 인터넷 2의 성과는 상업용으로의 이용 촉진에 기여하고 있으며, 미국 정부 지원으로 연구 개발된 현재의 인터넷 프로세스를 차세대 인터넷(NGI)에서도 이어가게 하고 있다. 반면, 인터넷 2는 지역마다 ‘gigaPoP(gigabit capacity point of presence)’라는 통신망을 구축해서 지역 내의 대학과 연결되어 있다. 이 ‘gigaPoP’를 거쳐 상용 인터넷 접속 사업자나 전 미국 규모의 고속기간망에 접속된다. 미국 MCI사 등 대형 사업자가 이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기 때문에 참가 대학은 민간 통신 사업자의 협력을 얻어서 인터넷 2 전용의 기간망을 확보할 수 있게 되었다.


RFID [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

극소형 칩에 상품정보를 저장하고 안테나를 달아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신하는 장치


IC칩과 무선을 통해 식품ㆍ동물ㆍ사물 등 다양한 개체의 정보를 관리할 수 있는 인식 기술을 지칭한다. '전자태그' 혹은 '스마트 태그', '전자 라벨', '무선식별' 등으로 불린다. 이를 기업의 제품에 활용할 경우 생산에서 판매에 이르는 전 과정의 정보를 초소형 칩(IC칩)에 내장시켜 이를 무선주파수로 추적할 수 있다.

RFID는 지금까지 유통분야에서 일반적으로 물품관리를 위해 사용된 바코드를 대체할 차세대 인식기술로 꼽힌다. RFID는 판독 및 해독 기능을 하는 판독기(reader)와 정보를 제공하는 태그(tag)로 구성되는데, 제품에 붙이는 태그에 생산, 유통, 보관, 소비의 전 과정에 대한 정보를 담고, 판독기로 하여금 안테나를 통해서 이 정보를 읽도록 한다. 또 인공위성이나 이동통신망과 연계하여 정보시스템과 통합하여 사용된다. 기존의 바코드는 저장용량이 적고, 실시간 정보 파악이 불가할 뿐만 아니라 근접한 상태(수 cm 이내)에서만 정보를 읽을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그렇지만 RFID는 완제품 상태로 공장 문 밖을 나가 슈퍼마켓 진열장에 전시되는 전 과정을 추적할 수 있다. 소비자가 이 태그를 부착한 물건을 고르면 대금이 자동 결제되는 것은 물론, 재고 및 소비자 취향관리까지 포괄적으로 이뤄진다. 또한 RF판독기는 1초에 수백 개까지 RF태그가 부착된 제품의 데이터를 읽을 수 있다. 대형 할인점에 적용될 경우 계산대를 통과하자마자 물건가격이 집계되어 시간을 대폭 절약할 수 있다. 그리고 정보를 수정하거나 삭제할 수 있는 점도 바코드와 다르다.

활용범위도 무궁무진하다. 도난과 복제 방지를 위한 목적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도서관에서는 도서 출납에 이용할 수도 있다. 현재 월-마트를 필두로 베네통, 독일의 유통체인인 메트로 등에서 상용화를 추진 중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RFID는 대중교통 요금징수 시스템은 물론, 그 활용 범위가 넓어져 유통분야뿐아니라, 동물 추적장치, 자동차 안전장치, 개인 출입 및 접근 허가장치, 전자요금 징수 장치, 생산관리 등 여러 분야로 활용되고 있다.


e-SCM

디지털기술을 활용하여 공급자, 유통채널, 소매업자, 그리고 고객과 관련된 물자 · 정보 · 자금 등의 흐름을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것을 말한다. 즉 e-SCM은 공급자에서 고객까지의 공급체인상의 물자 · 정보 등을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여 총체적인 관점에서 통합하고 관리함으로써 e-비즈니스 수행과 관련된 공급자, 고객, 기업내부의 다양한 니즈를 만족시키고 업무효율성을 극대화하려는 전략적 기법이다.


PRM [ partner relationship management , -關係管理 ]파트너 관계 관리

협력사 간, 본사와 지점 간 마케팅 관련 업무를 통합해 고객 관계 관리(CRM)를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솔루션. 전자 비즈니스 환경에서 견적, 승인, 협상, 주문, 판촉 등 일련의 영업 프로세스의 자동화 및 실시간 처리가 가능하고, 인터넷을 통해 대리점별 영업 실적이나 신뢰도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대리점별로 차별화 된 가격 및 서비스 정책을 구사함으로써 대리점 관리에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전자 비즈니스에서 CRM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비즈니스 통신 전략으로 PRM을 활용하고 있다.


스푸핑 [ spoofing]

스푸핑이란 '골탕먹이다, 속여먹다'라는 뜻을 지닌 'spoof'에서 나온 말로 해커가 악용하고자 하는 호스트의 IP 주소나 e-메일 주소를 바꾸어서 이를 통해 해킹을 하는 것을 말한다.네트워크상에서 서로 신뢰관계에 있는 시스템간에는 자신의 어카운트를 가지고 다른 시스템에 접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갑'과 '을'이 서로 정보를 교환할 때 해커가 '갑'으로 가장해 보내는 문서를 빼내는 행위 등이 이에 해당한다.


WML [ wireless markup language ]

무선 인터넷 환경에서 사용할 목적으로 개발한 마크업(markup; 데이터 구조를 보여주는 페이지 기술)언어이다. 텍스트와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고, 음성통화 기능을 이용하여 데이터 채널을 사용할 수도 있다.


무선마크업언어라고도 한다.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에서 작동하는 무선 프로토콜 마크업(markup) 언어이다. 작은 화면과 제한된 메모리 및 CPU, 좁은 대역폭(bandwidth)을 가진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의 무선 이동단말기에 적합한 언어이다. 또한 무선인터넷의 핵심기술로 WAP를 지원하는 휴대폰에도 적용되고 있다. HTML과 마찬가지로 태그를 기반으로 하며 텍스트·이미지·데이터 등을 입력할 수 있다.

주요 기능은 다음과 같다. ① 텍스트와 이미지 출력:기본적으로 텍스트(서체 포함)와 이미지를 지원하고 레이아웃도 할 수 있다. ② 데크(deck)와 카드(card):모든 정보는 데크와 카드의 집합으로 이루어진다.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WAP폰에 보낼 수 있는 가장 작은 단위를 데크라 하는데, 데크는 사용자가 접속하는 하나 또는 몇 개의 카드로 구성된다. ③ 카드간 이동과 링킹(Linking) : 카드와 데크 사이를 이동하는 것을 관리할 수 있게 한다. ④ 데이터 채널과 음성 채널의 공존:사용자는 음성통화 기능을 이용하여 데이터 채널과 음성 채널을 오갈 수 있다.

특징은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을 기반으로 작성되기 때문에 유동성이 풍부하다는 데 있다. 최초로 WML베이스를 제공한 폰닷컴사(phone.com)의 HDML과 비슷하다. 무선 인터넷의 보급과 함께 점차 활용도가 높아지는 추세이다.


SDH [ Synchronous Digital Hierarchy , 同期-階層 ] 동기 디지털 계층

고속 디지털 통신을 위한 광전송 방식의 국제 표준. 미국의 벨코어가 개발하고 미국표준협회(ANSI)가 표준화한 고속 광전송 방식의 표준 규격인 동기식 광통신망(SONET)을 바탕으로, 전기 통신 국제 표준화 기관인 ITU-T(구 CCITT)가 작성하여 1988년 권고 G.707, G.708, G.709로 공표한 국제 표준이다. 동기 디지털 계층(SDH)은 광섬유의 고속 디지털 전송 능력을 활용하기 위한 디지털 신호의 동기 다중화 계층과 속도 체계 및 인터페이스를 정의한다. SONET와 호환성이 있는 표준이라는 의미에서 SONET/SDH라고도 부른다. SDH의 기본이 되는 다중화 단위는 동기 전송 모듈(STM)이며 최저 다중화 단계인 STM-1의 전송 속도는 155.520Mbps이다. STM-1을 STM-3, STM-4 등으로 단계적으로 일정한 정수배로 다중화하는데 다중화 단계와 전송 속도는 표와 같다. SDH는 다양한 전송 기기를 상호 접속하기 위한 광신호와 인터페이스 표준을 제공하고, 고도의 망 운용·관리·보수(OAM) 기능을 제공하며 광대역 종합 정보 통신망(B-ISDN)에서의 응용을 위한 유연한 구조를 규정하고 있다. SDH가 탄생하기 전까지는 북미, 유럽, 일본 등 지역별로 3종류의 다중화 계층과 속도 체계가 존재하고 있었으나, SDH의 등장으로 각기 다른 속도의 고속 전송을 유연하게 다중화할 수 있고 통일적인 망 운용·관리·보수를 실현할 수 있게 되었다. 각국의 전기 통신 사업자가 기간 전송망에 SDH를 채용하는 방향으로 나가고 있다. B-ISDN의 핵심이 되는 비동기 전송 방식(ATM) 다중 데이터는 SDH에 따른 전송 회선상에서 전송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