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ommon Knowledges

[상식사전] PCS, IMT-2000, CSMA/CD, 그룹웨어, 온톨로지,RAID, SOAP,DES

이동 통신은 기술의 발전에 따라 세대로 구분된다. 아날로그 서비스가 1세대, 디지털로 변환하고 시간과 주파수를 공유하면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CDMA가 2세대, 2GHz 대역의 주파수를 이용하며 13Kbps급 음성신호변환장치로 기존의 시스템보다 경제적인 가격으로 고품질의 지능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는 PCS가 2.5세대, 이동성과 전송속도의 한계를 극복하여 지구상의 어떤 곳에서도 다양한 정보를 빠른 속도로 주고 받을 수 있도록 하는 통신서비스인IMT-2000이 3세대이다. 또한 2.3GHz 대역의 주파수를 이용하고 시속 60Km 이상의 이동성과 1Mbps급의 전송속도를 제공하고 광대역 무선 전송 기술을 사용하는 와이브로나 다양한 멀티미디어 신호를 디지털 방식으로 변조하여 수신기에 방송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DMB는 3.5세대 형태의 징검다리 형태로 4세대에 접근하고 있다. 향후 IMT-2000보다 다양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지원하며, 수십~수백 Mbps의 전송 속도로 대용량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도 있는 4세대 이동통신이 등장할 것이다.


PCS [ 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s ]

:1980년대 말 영국의 BT(British Telecom)가 처음 개념을 제시한 이동통신 시스템으로 2.5세대 이동통신이라고 불린다. 기존의 시스템보다 경제적인 가격으로 고품질의 지능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상용화에는 실패하여 장점을 충분히 활용하지 못한 채 주파수를 달리하는 이동통신서비스로 한정되었다.

제2세대 디지털 이동통신보다 한 단계 발전한 제2.5세대 이동통신이라 불린다. PCS는 통신방식이 디지털 이동통신과 유사하지만, 1.8GHz 대역의 주파수를 이용하며 13Kbps급 보코더(음성신호변환장치)를 사용하므로 기존의 시스템보다 경제적인 가격으로 고품질의 지능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제2세대의 디지털 이동통신보다 빠른 14.4Kbps의 전송속도로 데이터를 전달하므로 기존 이동통신 시스템에서는 할 수 없던 문자서비스와 화상서비스 등 다양한 부가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국은 1997년 10월부터 PCS 서비스가 상용화되었으나 아직은 그 장점을 충분히 활용하지 못한 채 다만 주파수를 달리하는 이동통신서비스로 한정된 측면이 있다.

현재 이동통신 선진국에서는 PCS보다 한 발 앞선 통신 시스템으로, 완벽한 멀티미디어 서비스가 가능한 글로벌 개인이동통신(Global Mobile Personal Communications by Satellite)이 실용화 단계에 있으며, 제3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으로 알려진 IMT-2000/FPLMTS과 무선멀티미디어 시스템이 개발 중에 있다.


IMT - 2000 [ 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 ]

:국가별로 개별 운영되고 있는 다양한 이동전화 시스템의 규격을 통일하여 세계 어느 지역에서도 하나의 단말기 또는 사용자 접속카드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 제3세대 이동통신서비스로, 우리나라에서는 2002년 상용화됨

2000년대에 선보이는 2GHz(2000MHz) 대역의 주파수를 사용한다는 뜻에서 2000이란 명칭이 붙었다. IMT-2000은 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의 약자로 2000MHz의 주파수를 이용하는 멀티미디어 이동전화를 말한다. 이동통신을 놓고 보면 1세대 아날로그 셀룰러, 2세대 디지털 셀룰러, 2.5세대인 개인휴대통신(PCS)에 이은 3세대 이동통신 중의 하나가 바로 IMT-2000이다. IMT-2000이란 용어가 통용되기 시작한 것은 1997년부터이며, 이전에는 국제전기통신연합(ITU)이 지난 78년 제정한 FPLMTS(future public land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프림스)란 용어가 사용되었었다. 그러나 FPLMTS가 발음도 어렵고 기억하기가 쉽지 않아 새로운 용어의 필요성이 계속 제기되어 왔고, 이로 인해 IMT-2000으로 이름을 변경해 사용하고 있다.

IMT-2000은 초고속 데이터 통신으로 음성뿐만 아니라 무선 인터넷 및 멀티미디어 통신 기능이 탁월하여 휴대폰으로 동영상 데이터를 주고받고 상대방 얼굴을 보면서 통화할 수도 있고 전송 속도가 초당 2Mbps에 달한다. 즉, 차세대 이동통신이 갖는 3가지 특징인 개인이동성, 멀티미디어화, 지능화를 지원한다. 또한 이론적으로 기존의 셀룰러나 PCS가 주파수 대역폭 제한으로 영상서비스가 어려운 데 비해 IMT-2000은 대역폭이 넓어 각종 멀티미디어를 무선으로 주고받을 수 있게 해준다. 초당 데이터 전송속도는 2Mbps(한글 12만 5000자)에 달한다. 그만큼 각종 텍스트와 음성 그림 영상 등 멀티미디어 정보를 빠른 속도로 주고 받을 수 있다. 즉 단말기 하나로 전 세계 어디에서나 데이터는 물론 동화상까지 주고받을 수 있는 차세대 이동통신이다.

기술표준으로는 동기식과 비동기식이 있는데, 동기식은 CDMA(디지털 휴대폰의 한 방식) 기술을 발전시킨 것이며, 비동기식은 유럽의 GSM(디지털 휴대폰의 한 방식) 기술에 CDMA 기술 일부를 결합시켜 개발한 기술이다. 동기식/ 비동기식 FPLMTS가 이동통신의 전세계 단일 표준화를 연구과제로 삼은 만큼 IMT-2000은 전 세계 로밍(global roaming)을 기본전제로 출발하였다. 즉, 전 세계 어디에서나 자신의 번호로 통화할 수 있게 하자는 것이다. 그러나 IMT-2000은 유럽의 비동기식 방식(W-CDMA)과 미국의 동기식 방식(CDMA2000)으로 기술이 나뉘어 있다. 유럽 이동통신 업체들은 3GPP라는 표준화 단체를 결성했으며 북미 통신업체들은 3GPP2를 결성하였다.

우리나라의 비동기식 방식과 동기식 방식을 모두 채택했다. 비동기식 사업자에는 SK텔레콤 주도의 'SKIMT'과 한국통신 주도의 'KT아이컴(KTF로 합병예정)'이, 동기식 사업자에는 LG텔레콤의 '그랜드 컨소시엄'이 선정되었다. 또한 우리나라에서는 정보통신부가 1996년 11월 IMT-2000기술개발 기본계획을 확정하고 96년 12월 기술개발 참여업체 신청을 접수하여 93개 업체와 IMT-2000기술개발 연구비 출연 협약을 체결하여 IMT-2000개발 협의회를 구성한 바 있으며 2002년부터 상용서비스가 실시되고 있다.


와이브로/CDMA/DMA는 [상식사전]포스트에 이미 등록되있다.


CSMA/CD [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collision detection ] 반송자 감지 다중 접근/충돌 검출

: LAN(local area network)에서의 통신 제어 방식이다. 미국 제록스사의 Ethernet으로 사용된 것이 그 시초이며, 그 후 IEEE(전기 전자 기술자 협회)가 LAN의 표현 방식의 하나로 채용했다. 이 통신 방식은 제어 기능을 네트워크 내의 각 장치로 분산하고, 전송 속도를 높임으로써 전송 여백 시간을 증가시킨다. 다른 장치의 전송데이와 케이블상에서 충돌(collision)을 일으켰을 경우, 이것을 검출(detect)한 장치는 그 데이터를 재전송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 CSMA/CD 방식은 LAN 중에서도 1 ~ 10Mbit/초의 저·중속 LAN용이다.


그룹웨어 [Groupware]

:그룹 작업을 지원하기 위한 컴퓨터 시스템의 약칭. 협의의 의미로는 그룹 작업의 지원을 가능하게 하는 소프트웨어를 일컫는다. 1986년부터 미국을 중심으로 제기된 CSCW(computer supported corporative work)라는 개념이 그 근간을 이루고 있다. 이 그룹웨어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PC나 유닉스 컴퓨터를 연결한 네트워크 정비가 필요하며, 한 사람당 한 대의 PC를 갖춰야 하는 환경 역시 요구된다. 구체적으로 그룹웨어에는

① 전자 메일과 전자 게시판, 스케줄링 시스템을 사용한 정보의 전달과 공유,
② 떨어진 지점 간에 회의를 하기 위한 TV 회의 시스템,
③ 어떤 사람이 작성한 문서를 다른 사람이 첨삭하는 공동 집필 시스템 등이 있다. 업무의 흐름을 자동화하거나 관리하는, 즉 워크플로 관리를 하는 것을 그룹웨어로 보는 견해가 있는 반면에 전자 커뮤니케이션이나 정보의 공유에 타깃을 맞춘 제품을 그룹웨어라 부르고, 워크플로 관리는 별개의 것으로 인식하는 견해도 있다. 미국에서는 흔히 로터스벨로프먼트 사의 「로터스노츠」가 그룹웨어의 전형으로 일컬어지고 있다.


온톨로지 [ontology]

공유된 개념화(shared conceptualization)에 대한 정형화되고 명시적인 명세(formal and explicit specification). 온톨로지는 단어와 관계들로 구성된 일종의 사전으로서 생각할 수 있으며, 그 속에는 특정 도메인에 관련된 단어들이 계층적으로 표현되어 있고, 추가적으로 이를 확장할 수 있는 추론 규칙이 포함되어 있어, 웹 기반의 지식 처리나 응용 프로그램 사이의 지식 공유, 재사용 등이 가능토록 되어 있다. 온톨로지는 시맨틱 웹 응용의 가장 중심적 개념으로서, 이를 표현하기 위해 스키마와 구문 구조 등을 정의한 언어가 온톨로지 언어(ontology language)이며, 현재 DSML+OIL, OWL, Ontolingun 등이 있다.


RAID[ redundant array of inexpensive disk ]

:데이터를 분할해서 복수의 자기 디스크 장치에 대해 병렬로 데이터를 읽는 장치 또는 읽는 방식. 1987년 캘리포니아 대학 버클리 분교의 패터슨, 깁슨, 카츠에 의해 발표되어 논문 ‘A Case for Redundant Arrays of Inexpensive Disks’에서 등장한 기술이다. 1~5단계로 제안된 자기 기억 장치의 새로운 기술과 SLED(single large expensive disk)를 비교하여 설명하였다. 그 후로 여러 업체에서 제안한 0, 6, 10수준 등이 있다. 여러 디스크를 병렬로 연결하여 사용하는 기법으로서 접근(access) 속도와 데이터 보존 신뢰가 우수할수록 높은 등급을 받는 5단계로 구분된다.


닷넷 [ .Net ]

확장성 생성 언어(XML)와 단순 객체 접근 프로토콜(SOAP)을 기반으로 한 통합 웹 서비스 플랫폼마이크로소프트사의 통합 인터넷 전략으로 나온 것으로, 인터넷에서 데이터를 정의해 주는 사실상의 표준인 XML을 사용하여 서비스와 콘텐츠가 상호 작용해 접속되고, 언제 어디서나 어떠한 이동 단말기로도 각종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한다. 닷넷 플랫폼은 서비스를 구현하고 운용할 수 있는 하부 구조 및 도구이며, 새로운 종류의 스마트 인터넷 장비를 가능하게 하는 소프트웨어이다. 시스템과 조직 간의 서로 상이한 시스템을 안전하고 신뢰성 있게 연결하는 윈도즈 닷넷과 같은 기술, 사생활 보호 및 인증 도구에 대한 보강 버전, 실시간 커뮤니케이션과 협업 서버 소프트웨어 기술, SQL 서버의 차세대 버전, 윈도즈 PC를 홈 엔터테인먼트로 바꾼 윈도즈 XP 미디어 센터 에디션, 강력한 MSN의 패스포트와 닷넷 알림 서비스 등의 빌딩 블록 서비스 기능, 스팸 메일 보호 기능, 온라인 보안 및 안전 기능 등을 포함하고 있다.


Firewire

미국 애플 컴퓨터 회사와 텍사스 인스트루먼트(Texas Instruments)사가 공동으로 제창한 고속 직렬 데이터 버스 규격. 케이블의 전기적 특성이나 접속기의 형상 등 물리적인 부분에 대해서 결정된 규격으로, 후에 IEEE 1394로 규격화되었다. IEEE 1394는 주로 PC와 AV 기기의 접속을 상정한 통신 규격으로서 디지털 동화상 전송 등을 의식해서 만든 것이다. ‘Fire-Wire’라는 명칭은 ‘불에 타서 연기가 올라가는 만큼 빠른 속도’라는 의미에서 붙여졌다.


데이터 마이닝 [data mining]

데이터 베이스 내에서 어떠한 방법(순차 패턴, 유사성 등)에 의해 관심 있는 지식을 찾아내는 과정. 데이터 마이닝은 대용량의 데이터 속에서 유용한 정보를 발견하는 과정이며, 기대했던 정보뿐만 아니라 기대하지 못했던 정보를 찾을 수 있는 기술을 의미한다. 데이터 마이닝을 통해 정보의 연관성을 파악함으로써 가치있는 정보를 만들어 의사 결정에 적용함으로써 이익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일일 거래 데이터, 고객 데이터, 상품 데이터 혹은 각종 마케팅 활동의 고객 반응 데이터 등과 이외의 기타 외부 데이터를 포함하는 모든 사용 가능한 근원 데이터를 기반으로 감춰진 지식, 기대하지 못했던 경향 또는 새로운 규칙 등을 발견하고, 이를 실제 비즈니스 의사 결정 등을 위한 정보로 활용하고자 하는 것. 데이터 마이닝의 적용 분야로 가장 대표적인 것은 데이터 베이스 마케팅이다.


SOAP [ Simple Object Access Protocol ]

웹서비스를 실제로 이용하기 위한 객체 간의 통신규약으로 인터넷을 통하여 웹서비스가 통신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기술임. SOAP(SOAP Envelope), SOAP 헤더, SOAP 본체, SOAP Encoding Rule, SOAP RPC Representation의 5가지 요소로 구성


Trunk

스위치 프레임에 수용되는 입출 회선에 설비되어 있는 장치. 통화로의 일부를 구성하고 그 감시 제어를 하는 것으로, 통화에 필요한 전류 공급, 신호 송출, 요금 산출 기구 등을 갖는다. 트렁크의 종류는 ㉠입중계 트렁크:입중계 접속 또는 경유로 기능, 주통화로 감시 기능, ㉡출중계 트렁크:출중계 접속 또는 경유로 기능, 주통화로 감시 기능, ㉢자국 내 트렁크:발호 및 피호 측의 통화 전류의 공급, 호출 신호의 송출 기능, ㉣양방향 트렁크:출중계 및 입중계 접속 기능을 함께 갖는 트렁크 기능, ㉤발신 레지스터 트렁크:가입자에게 발신음을 송출하는 기능, ㉥입중계 레지스터 트렁크:선택 신호 정보의 중앙 처리 장치 전송 기능, ㉦출중계 송출 트렁크:선택 신호를 출중계 트렁크를 경유하여 송출하는 기능, ㉧호출음 트렁크:호출음 송출 기능, ㉨호출 신호 트렁크:호출 신호 송출 기능, ㉩통화 중 음 트렁크:통화 중 신호음 송출 기능 등이다.

DES [Data Encryption Standard]

DES(Data Encryption Standard)는 블록 암호의 일종으로, 미국 NBS (National Bureau of Standards, 현재 NIST)에서 국가 표준으로 정한 암호이다. DES는 대칭키 암호이며, 56비트의 키를 사용한다.

EFF에서 제작한 DES 무차별 대입 공격 하드웨어.

DES는 현재 취약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56비트의 키 길이는 현재 컴퓨터 환경에 비해 너무 짧다는 것이 하나의 원인이며, DES에백도어가 포함되어 있어 특수한 방법을 사용하면 정부 기관에서 쉽게 해독할 수 있을 것이라는 주장도 제기되었다. 1998년에 전자 프론티어 재단(EFF)에서는 56시간 안에 암호를 해독하는 무차별 대입 공격 하드웨어를 만들었으며, 1999년에는 22시간 15분 안에 해독하는 하드웨어를 만들었다.[1]

DES를 세 번 반복해서 사용하는 Triple-DES는 DES에 비해 안전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또한 현재는 DES 대신 AES(Advanced Encryption Standard)가 새 표준으로 정해져 사용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