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stributed Data Processing 분산처리
: 여러 곳에 데이타처리장치나 기억장치가 분산되고 있으나 이것들을 서로 통신 네트워크로 연결시켜 실시하는 데이타처리. 분산처리는 중·소형 컴퓨터의 능력향상과 워크 스테이션의 보급에 따라 보다 성행되고 있다. 분산처리로 한다면 호스트 컴퓨터의 부담은 가볍게 되지만 분산처리가 지나치게 되면 데이타의 일원화 관리하에서는 처리능력상 여간해서 대응하지 못하고 쌓이고 마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상태를 해소시키기 위해서 분산처리는 효율적인 것이다.
SSL [ Secure Sockets Layer ]
:월드 와이드 웹 브라우저와 웹 서버 간에 데이터를 안전하게 주고받기 위한 업계 표준 프로토콜. 미국 넷스케이프 커뮤니케이션스사가 개발했고, 마이크로소프트사 등 주요 웹 제품 업체가 채택하고 있다. SSL은 웹 제품뿐만 아니라 파일 전송 규약(FTP) 등 다른 TCP/IP 애플리케이션에 적용할 수 있으며, 인증 암호화 기능이 있다. 인증은 웹 브라우저와 웹 서버 간에 서로 상대의 신원을 확인하는 기능이다. 예를 들면, 웹 브라우저를 사용하는 웹 서버를 사용한 가상 점포의 진위(眞僞) 여부를 조사할 수 있다. 암호화 기능을 사용하면 주고받는 데이터가 인터넷상에서 도청되는 위험성을 줄일 수 있다.
DE [Disk Enclosure]
:A disk enclosure is a specialized casing designed to hold and power disk drives while providing a mechanism to allow them to communicate to one or more separate computers. Drive enclosures provide power to the drives therein and convert the data sent across their native data bus into a format usable by an external connection on the computer to which it is connected. In some cases, the conversion is as trivial as carrying a signal between different connector types. In others, it is complicated enough to require a separate embedded system to retransmit data over connector and signal of a different standard. Factory-assembled external hard disk drives, external DVD-ROM drives, and others consist of a storage device in a disk enclosures.
SRAM [Static Random Access Memory]
:플립플롭 방식의 메모리 장치를 가지고 있는 RAM(Random access memory)의 하나이다. 전원이 공급되는 동안만 저장된 내용을 기억하고 있다.
한번 쓰인 명령어를 반복해서 읽을 수는 있으나, 변경할 수는 없는 판독전용 기억장치를 롬(ROM)이라고 하는데 비해, 램(RAM)은 기억된 내용을 마음대로 읽거나 변경시킬 수 있는 기억장치로서 주로 주기억장치에 사용한다.
램에는 사용자가 작성한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으며, 정적 램(SRAM)과 동적 램(DRAM)으로 분류된다. 정적 램(SRAM)이란 플립플롭 방식의 메모리 셀을 가진 임의 접근 기억장치로서, 전원 공급이 계속되는 한 저장된 내용을 계속 기억하며, 복잡한 재생 클록(refresh clock)이 필요없기 때문에 소용량의 메모리나 캐시메모리(cache memory)에 주로 사용한다. 정적 램은 동적 램보다 속도가 5배 정도 빠르며 가격도 비싼 편이다.
정적 RAM의 구조는 MOS FET 4∼6개로 된 플립플롭 메모리 셀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동작 원리는 보통의 플립플롭과 동일하다. 1비트당 소비전력은 동적 RAM에 비하여 낮다.
AI [Artificial Intelligence]
:인공지능. 이에 대한 해석은 연구자에 따라 다르고 또 시대의 유행에 따라서 다르다. 그러나 SF적인 인공지능의 실현은 처음부터 연구자들에게 꿈의 목표로 생각되었다. 오히려 단시간에 빠르게 학습하거나 판단하거나 추론하는 기계의 실현이 추구되어 왔다. 인공지능의 연구는 1956년 여름 토머스회의에서 비롯됐다. 초기의 인공지능 연구는 MIT(메사추세츠공과대학), 카네기·멜론, 스탠퍼드대학, 스탠퍼드연구소(SRI)등 4개소에 집중되어 있었다. 초기의 연구는 체스게임의 프로그램과 이론학습기계, 수학의 정리증명 프로그램, LISP 등이었다. 패턴인식이나 인간의 뇌나 신경회로를 모방한 학습기계의 연구개발이 성행한 시대도 있었다. 1970년대에 접어들어 인공지능연구는 일시 정체했으나 1982년에 발표된 일본의 제5세대 컴퓨터계획은 인공지능연구에 새로운 활기를 불어 넣었다. 1980년대의 인공지능연구는 제5세대 컴퓨터계획의 PROLG를 핵언어로 한 적도 있으며 지능표현이나 추론방식, 자연언어 이해나 엑스퍼트(expert) 시스템과 인공지능 언어 연구가 주류를 이루었다. 최근의 현저한 경향은 인공지능이 소수의 학문적 연구자의 연구대상에서 대자본과 거대조직을 동원한 제작사의 제품개발로 옮겨지고 있다. 제작사의 목표는 비교적 제품화하기 쉬운 엑스퍼트시스템이나 AI워크스테이션의 실용화에 있다. 미국에서 AI는 전차나 장갑차, 항공기의 고장진단을 위한 엑스퍼트나 유사시 군사 시뮬레이션 등 군사이용에 깊은 관계가 있다. 인공지능연구는 인류에게 남은 최후의 지적인 연구과제의 성역이며 간단히 실용화된다고 생각할 수 없지만 각국의 무수한 연구자나 연구기관에서 열심히 연구를 계속하고 있으며 1990년대에는 상당한 진보가 기대되고 있다.
Mission Critical
:절대 시스템이 다운되어서는 안 되는 하드웨어적 환경에 있는 근간 시스템. 은행의 온라인 시스템이나 철도, 항공기 운행, 제어 시스템 등 단 한 번이라도 시스템이 다운되면 사회적으로 엄청난 영향을 미치는 컴퓨터에 사용된다.
Clustering
:서로 근접한 위치 또는 같은 장소에 있는 복수의 입출력 장치나 단말 장치 등을 하나의 집단(다발)으로 집중 제어하여, 이들 장치 상호 간에 통신할 수 있고 단일 통신 채널을 공유하여 주 컴퓨터와 통신할 수 있게 하는 기술. 유사성과 같은 어떤 개념을 바탕으로 데이터를 몇 개의 집단으로 분류하는 방법이다. 문헌 검색이나 유형 인식을 비롯하여 생물학, 의학, 경영학 등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취급하는 데이터의 성질이나 분류의 목적에 따라 많은 방법이 있다.
SSR [ solid state relay ]
:무접점식 릴레이(차단기)의 대표적인 것으로, 반도체를 이용한 전자릴레이를 이른다.
[해설]
SSR은 그림과 같이 입력 측과 출력 측을 광반도체로 전기적으로 절연하고 있다. 발광 측에는 가시영역에 있을 필요는 없으므로 갈륨이나 비소처럼 효율이 좋은 적외광의 발광 다이오드를, 수광측은 갈륨ㆍ비소의 발광파장과 거의 같은 파장 감도를 갖는 실리콘계 포토 트랜지스터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스위치를 닫았을 때는 입력 측에 소요 전류를 흘려 발광 다이오드를 발광시킨다. 출력 측에서는 발광 다이오드의 발광을 받아 포토 트랜지스터가 작용하여 미소한 발광 입력이 있어도 그것을 증폭해서 출력 측 회로가 닫혀 스위치는 OFF가 된다.
발광다이오드와 포토 트랜지스터간의 거리를 가깝게 하면 절연성이 저하되어 내전압이 약화되지만 응답속도는 빨라진다. 그러나 종래의 유접점식 릴레이와 비교하면 응답속도가 충분히 빨라 직접회로를 아무렇게나 사용한 회로에 응용하기가 적당하다. 일반적으로 SSR은 반응속도에 있어서는 발광 다이오드의 반응속도가 충분히 빠르고, 수광소자 측의 속도에 따라 결정된다.
[응용과 전망]
종래의 유접점식 릴레이 메이커에게 있어서 직접회로(IC, LSI)는 유접점식 릴레이 시장을 위축시킨 가해자였지만 SSR은 집적회로와 함께 시장을 신장시켜 나가고 있으며, 종래의 릴레이 메이커도 SSR에 손을 뻗쳐나가고 있다. 그러나 반도체의 본가인 대형 메이커도 이 매력있는 SSR의 시장에 파고들어 격전의 양상을 나타내고 있다.
switch
:(1) 순서도(flow chart)에서의 가변 연결기(variable connector). 또는 이것에 대응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에 있어서 몇 개의 분기(branch) 중의 어딘가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분기 명령. N웨이 스위치(N way switch)라고도 한다.
(2) 전기 회로의 동작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전원을 개폐시키는 전기 장치, 전기 부품. 이 의미에서「개폐기」라고도 한다. 또 전기 회로의 몇 가지 동작 상태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기 위해 사용되는 전기 회로, 전기 부품이라고도 한다.
[주] 컴퓨터 프로그램에 있어서의 파라미터이며, 분기를 제어하고, 각 분기점에 도달하기 전에 설정되는 것.
QoS [Quality of service]
: 인터넷이나 네트워크 상에서 전송률 및 에러율과 관련된 서비스 품질을 가리키는 말이다. 특히 잇따라 터진 인터넷 접속 불능 사태를 계기로 QoS에 대한 관심이 크게 높아지고 있으며, 높은 대역의 비디오 및 멀티미디어 정보를 신뢰성 있게 전송해야 하는 경우 더욱 중요하다. 네트워크 업체들은 최근 네트워크 트래픽 분석은 물론 우선 순위에 따라 트래픽 사용량 및 속도까지 제어할 수 있는 QoS 기능을 갖춘 네트워크 관리서비스를 개발 중이다.
Multiplexer Channel
컴퓨터 본체와 I/O 장치를 연결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한 채널을 시분할적으로 많은 서브채널로 나누어 각각의 서브채널이 하나의 I/O 장치를 제어하도록 한 것. 전송 속도가 늦은 I/O 장치는 이 채널에 접속된다. 고속 I/O 장치에 대해서는 실렉터 채널(selector channel;전용 채널)을 사용한다.
[주] 데이터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동시에 동작하는 여러 대의 주변 장치와 내부 기억 장치와의 사이의 데이터 전송을 병행해서 취급하는 기능 단위. 데이터 전송은 바이트 단위 또는 블록 단위로 행해진다
어떤 컴퓨터 시스템에 있어서, 한 시점에서 단 1개의 입출력 장치와의 사이에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는 입출력 채널(선택 채널). 멀티플렉서 채널과 대비된다. 후자에서는 다수의 저속 디바이스가 하나의 채널에 다중화된다.
TDM [ time division multiplexer ]
시분할 다중화 방법으로 하나의 물리적 중계선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말한다. 전화통신망에서 규모의 절약은 대단히 중요하다. 이를 위하여 하나의 물리적 중계선을 동시에 복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멀티플렉싱이 이루어질 수있는 방법이 연구되어 왔는데, 이러한 멀티플렉싱 방법은 FDM(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과 TDM(time division multiplexing) 2가지로 나뉘어진다. FDM의 경우 각각의 사용자는 어떠한 주파수 대역을 독점적으로 가진다. TDM의 경우 사용자들은 순서대로 돌아가며 주기적으로 잠깐씩 전체 대역폭을 쓰게 된다.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TDM은 시분할 다중화를 의미하는 것으로 한 전송로의 자료 전송 시간을 일정한 시간폭(time slot)으로 나누어서 차례로 분배함으로써 몇 개의 저속 서브채널이 1개의 고속 전송선을 나누어 이용하도록 하는 것이다. 각 저속의 터미널은 시분할 다중화기의 입출력 채널 어댑터(adapter)에 연결되는데, 어댑터는 버퍼(buffer)의 역할과 터미널과 자료를 주고 받는데 필요한 제어 기능 등을 수행한다. TDM에서는 전송 경로의 허용 자료 속도를 넘지 않는 최고 속도로 모뎀에 대하여 시분할한 디지털 신호를 발신한다. 모뎀은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신호로 변환하여 전송 경로로 보낸다. 수신측에서는 전송되어 온 아날로그신호를 모뎀을 써서 디지털 신호로 복조한 뒤 TDM에 보낸다. TDM은 여러 음성 데이터 전송 채널의 대역폭을 고정해서 하나로 묶어 고속 디지털 회선으로 중계 전송하는 장치이다.
NIC [Network Information Center]
인터넷정보센터(Network Information Center)는 인터넷을 사용하기 위해 필요한 IP주소, 도메인이름 등을 제공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도메인 이름의 등록 및 관리기관이다. 처음에는 미국의 인터닉(InterNic)에서 전 세계 도메인 이름을 관리했다. 하지만 인터넷을 사용하는 사람들이 폭발적으로 늘어나면서 국가 도메인은 각 대륙별, 나라별로 등록기구를 두고 관리하도록 했다. 유럽은 RIPE-NCC, 아시아지역은 APNIC, 미주와 그 외 지역은 InterNIC이 대륙별 인터넷정보센터를 담당하고 있다.
한국인터넷정보센터(Korea Network Information Center)는 한국의 인터넷주소자원을 관리하는 조직으로 1999년 6월에 비영리 재단법인으로 설립되었으나, 2009년 7월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이 설립되면서 한국인터넷진흥원 산하의 인터넷주소자원 관리 담당부서로서 그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웹사이트 주소는 www.kisa.or.kr이다.
NIC [Network Interface Card]
'Common Knowledge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식사전] kernel, os, UNIX, SSH, ALU, SP, UDP, Narrow Band, cracker (0) | 2013.07.04 |
---|---|
[상식사전] PCS, IMT-2000, CSMA/CD, 그룹웨어, 온톨로지,RAID, SOAP,DES (0) | 2013.07.04 |
[상식사전] WIPI, Telematics, IEEE 1394, DMB, Apache, FDDI, 인터넷 2 (0) | 2013.07.03 |
[상식사전] MacOS, RISC, RDRAM, FTP, URL, session (0) | 2013.07.03 |
[상식사전] 개인키, VRML, ether-channel, intranet, XSL, WiBro,BPR (0) | 2013.07.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