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ommon Knowledges

[상식사전] MacOS, RISC, RDRAM, FTP, URL, session

MacOS [매킨토시 OS]

:매킨토시 컴퓨터의 운영 체계(OS). 매킨토시 OS라고도 한다. 맥 OS는 당초 매킨토시 시스템 소프트웨어의 일반적인 호칭이었으나 현재는 매킨토시용 OS의 이름으로 정식 채용, 상표가 되었다. 1984년에 처음으로 매킨토시를 발매한 이래 매킨토시의 OS는 마우스 조작에 의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나 윈도 표시를 재빨리 채용한 것으로 주목을 끌었다. 


앞으로 랩소디(Rhapsody)라는 코드명으로 새로운 OS가 등장할 예정인데, 이것은 맥 OS의 조작 감각(look and file)을 가진 내부 구조를 대폭 변경해서 성능 향상을 도모한 것이다. 또 개인용 컴퓨터(PC) 호환기나 윈도즈상에서도 랩소디를 동작시킬 예정이다.


RISC [Reduced Instruction Set Computer]

CPU(중앙처리장치) 안의 명령어를 최소로 줄여 단순하게 만든 프로세서


축소명령 세트 컴퓨터라고도 한다. 컴퓨터에 작업을 실행시키려면 명령을 내려야 하는데, 다양한 작업을 시키기 위해 명령의 종류를 계속 늘려온 것이 컴퓨터의 역사라고도 할 수 있다. 그러나 명령의 종류를 너무 늘린 결과, 정보처리의 속도가 늦어지는 결점이 발생했다. 따라서 사용 빈도가 높은 명령만으로 짜여진 것이 RISC이다. 반도체가 한 가지 작업을 해내는 시간을 클락으로 표시한다. RISC는 대부분의 명령을 하나의 클락으로 정리하여 처리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범용 마이크로프로세서를 구성하는 요소에는 명령세트ㆍ레지스터ㆍ메모리 공간 등이 있는데, 이 중 명령세트는 RISC(reduced instruction set compute)와 CISC(complex instruction set computer)의 2가지로 크게 분류할 수 있다. 1970년대에 등장한 RISC 방식은 최신 프로세서의 핵심 기술로, CPU에서 수행하는 모든 동작의 대부분이 몇 개의 명령어만으로 가능하다는 사실을 전제로 하고 있다. 

RISC는 명령어가 전부 1워드(word) 길이로 짧고 파이프라인(pipeline)과 슈퍼 스칼라(super scalar)를 통해서 멀티태스킹이 가능하므로 CISC에 비해서 많은 레지스터를 가지고 있다. RISC는 CISC의 길고 복잡한 명령어 설계를 가져다 짧고, 처리가 빠른 여러 개의 명령어로 바꾸었다. 규모가 방대하고 복잡한 작업을 수행할 경우 수천~수만 가지의 명령어를 다거치지 않고 실제로 사용되는 핵심 명령어만 따로 뽑아사용하면 작업 속도가 훨씬 빨라진다. 

RISC CPU는 고정된 길이의 명령어를 사용하고 명령어의 종류가 미리 정해져 있으므로 해석 속도가 빠르고 여러 개의 명령어를 처리하기에 적합하다는 것이 장점이다. 그러나 트랜지스터 집적에 있어서 효율성이 떨어지고 전력 소모가 크며, 처리 비트 단위가 변하거나 CPU의 구조가 조금만 바뀌어도 하위 프로세서와의 호환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단지 고성능의 대용량 데이터 처리가 필요하고 소프트웨어 활용이 비교적 고정되어 있는 워크스테이션을 중심으로 해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RDRAM [Rambus DRAM]

미국 램버스 사가 개발한 기술. 램버스 사의 「램버스 인터페이스」라는 LSI 간의 초고속 데이터 전송 기술을 이용하여 획기적인 성능을 제공한다. 기존의 DRAM에 비해 100~300% 성능 향상을 제공하고 있다.


RIMM [Rambus Inline Memory Module]

RDRAM을 메모리 모듈화한 것. DIMM을 기준으로 하고 있지만 호환성은 없다. 모듈을 통해 신호가 흐르는 구조이기 때문에, 빈 슬롯이 있는 경우에는 통전(通電)만을 위한 모듈(continuity RIMM)을 사용 해서 빈 슬롯이 막히지 않도록 해야 한다.


FTP [File Transfer Protocol]

인터넷상에서 컴퓨터 사이의 파일을 전달하는 데 사용되는 프로토콜 종류에는 web browser 방식과 전용 software 방식이 있다.


FTP는 컴퓨터 간 파일을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프로토콜로 대용량의 서버에 각종 공개용 소프트웨어 및 문서를 저장하여 사용자가 필요한 자료를 자신의 컴퓨터로 다운로드하여 쓸 수 있게 한다. 이는 TCP/IP 네트워크 상에서 가장 널리 알려져 있는 프로토콜로 TCP/IP상의 다른 종류의 컴퓨터와 파일 또는 문서를 교환할 수 있고 Windows의 경우 Cute-ftp, Ws-ftp와 같은 소프트웨어를 사용한다. 한편 파일을 송수신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으나 FTP만큼 빠르게 파일을 올리고 내려 받는 방식이 없기 때문에 아직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

FTP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송신 혹은 수신하고자 하는 컴퓨터의 계정을 알아야 하며 일단 접속이 이루어지면 원하는 디렉토리(directory)에서 원하는 파일을 송신 혹은 수신할 수 있다. FTP는 처음에는 워크스테이션과 같은 다중 사용자 컴퓨터 사이에서 가능하였으나, 현재는 개인 컴퓨터에서도 다중 사용자 컴퓨터와 파일을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한 응용 프로그램이 개발되어 많이 사용되고 있다.


Work Station

개인이나 적은 인원수의 사람들이 특수한 분야에 사용하기 위해 만들어진 고성능 컴퓨터

외형은 개인용 컴퓨터와 비슷하나 개인용 컴퓨터와 미니컴퓨터의 중간 사양인 컴퓨터로 미니컴퓨터의 처리 능력에 버금간다. 가격은 비싸지만 일반 컴퓨터보다 성능이 월등히 높고 처리속도가 빠르다. 운영체제로 보통 유닉스 계열을 사용하며 윈도 NT를 사용하기도 한다. 네트워크에 연결하여 주로 서버(server)로 사용되고 있고, 대부분 RISC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사용하고 있다.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uniform resource locator의 약어. 웹 서버가 인터넷 상에 존재하는 어떤 특정 정보나 파일, 자원을 검색하고 해석하는 데 필요한 네트워크 서비스와의 인터넷 상의 어떠한 파일이나 서비스도 표현 및 데이터를 직접 받아올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http://www.trumpet.com.ar/」이라고 표현되었을 때, http는 프로토콜을 의미하고, www.trumpet. com.ar은 접속하려고 하는 곳을 의미한다. URL에서 ‘:’까지는 접근하기 위한 방법을 나타내고, 콜론 이후에 데이터의 위치나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의 주소를 나타낸다. 그리고 나머지 부분은 접속될 포트 번호에 접근할 파일명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웹 서버는 URL을 사용해서 단순히 HTTP만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FTP, Telnet, gopher, WAIS 등도 접속이 가능하다. 또한 여러 사이트에 접속해보면 관리자에게 메일을 보낼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경우가 많은데, 이러한 기능은 하이퍼링크가 하이퍼텍스트 상에서 어떤 항목을 선택하면 자동적으로 메일 프로그램을 수행하여 메일을 보낼 수 있도록 구성되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기능은 HTML+ 버전에서 제공된다.


HyperText

일반적인 문서처럼 연속된 것이 아니라 사이사이에 연결이 있어서 어떤 부분을 보다가 그에 관련된 다른 부분을 그 연결을 따라가면서 참조할 수 있는 문서.


종래의 데이터 기술 개념, 하이퍼텍스트 데이터 기술 개념


Domain Name

인터넷에서 호스트 컴퓨터의 위치를 나타내는 IP 주소는 숫자로 이루어져 있는데, 도메인 네임은 IP 주소의 각 자리의 숫자를 적당한 영문자로 바꾼 것. 이것은 마침표로 구분된 2∼5개의 영어단어로 이루어져 있다. 도메인 네임은 외기 쉽다는 점 외에도 해당 컴퓨터를 가지고 있는 기관에 대한 성격을 제공해 준다. 즉 mk.co.kr에서 mk는 매일경제라는 회사의 이름을 나타내고 co는 일반적인 영리기업, kr은 한국에 있다는 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국내 도메인은 소유법인의 성격에 따라 co(영리 법인), or(비영리 법인), go(국가기관), pe(개인) 등으로 나뉘고 국제도메인은 com(영리 법인), org(비영리 법인), gov(국가기관) 등으로 나뉜다. 국내에서는 한글 도메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들이 생겨나 www.매일경제.co.kr과 같이 웹상에서 한글로 된 인터넷주소를 쓸 수 있다.


Chipset

:chipset is a set of electronic components in an integrated circuit that manage the data flow between the processor, memory and peripherals. It is usually found in the motherboard of a computer. Chipsets are usually designed to work with a specific family of microprocessors. Because it controls communications between the processor and external devices, the chipset plays a crucial role in determining system performance.



session

통신에서는 사용자와 컴퓨터, 또는 두 대의 컴퓨터간의 활성화된 접속을 의미하며, 프로그램 사용과 관련해서는 한 응용프로그램의 기동을 시작해서 종료할 때까지의 시간을 가리킨다. 또한 CD상에서 한번에 기록된 하나 이상의 오디오 또는 데이터 트랙들을 의미한다.


    • ①망 환경에서 사용자 간 또는 컴퓨터 간의 대화를 위한 논리적 연결. 
      ②프로세스들 사이에서 통신을 하기 위해 메시지 교환을 통해 서로를 인식한 이후부터 통신을 마칠 때까지의 기간.



hub

컴퓨터들을 LAN에 접속시키는 네트워크 장치.


기계 분야에서는 자전거 등에서 바큇살이 딸려 나오는 휠의 중심부를 가리키며 네트워크 분야에서는 LAN을 구성할 때 한 사무실이나 가까운 거리에 있는 장비들을 케이블을 사용하여 연결해 주는 장치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컴퓨터나 프린터들과 네트워크 연결, 근거리의 다른 네트워크(다른 허브)와 연결, 라우터등의 네트워크 장비와 연결, 네트워크 상태 점검, 신호 증폭 기능 등의 역할을 한다.

버스 형태로 접속되는 LAN에서 분기하여 컴퓨터들을 별 형태로 LAN에 접속시키는 접속 또는 집선 장치로, 각 노드(연결된 컴퓨터)를 LAN에 연결해 주는 것은 물론 각 노드에서 패킷 단위로 발송되는 자료에서 수신 노드의 주소를 판독하여 수신 노드로 자료를 전송하기도 한다.

이렇게 주소에 따라 자료를 연결(스위칭)해 주는 특성 때문에 스위칭 허브(switching hub)라고도 하며, LAN 구성 방법중의 하나인 Ethernet과 ATM(비동기 전송모드) 단말의 집선장치로 사용한다.


repeater

디지털 방식의 통신선로에서 신호를 전송할 때, 전송하는 거리가 멀어지면 신호가 감쇠하는 성질이 있다. 이 때 감쇠된 전송신호를 새롭게 재생하여 다시 전달하는 재생중계장치를 리피터라고 한다. 종류는 비트 리피터(Bit Repeater)와 축적형 리피터(Buffered Repeater)가 있다.


디지털신호는 일정한 거리 이상으로 나아가면 출력이 감쇠하는 성질이 있으므로 장거리 전송을 위해서는 이를 새로이 재생시키거나 출력 전압을 높여 주는 장치가 필요한데, 리피터는 바로 전송신호의 재생중계 장치이다. 
디지털통신 네트워크에서 근거리통신망의 역할이 커지면서 랜(LAN)은 처음 구성할 때보다 크게 늘어나기 마련인데, 리피터를 이용하면 LAN을 서로 접속시킬 수 있고, 하나의 LAN 중간중간에 설치하여 거리나 접속 시스템 수를 확장시킬 수 있다.

종류는 크게 비트 리피터(Bit Repeater)와 축적형 리피터(Buffered Repeater)로 나뉜다. 비트 리피터는 세그먼트(LAN 단위)로부터 비트를 받아서 아무런 처리도 하지 않고 단순히 신호를 전기적으로 재생하여 다음 세그먼트에 넘긴다. 따라서 양쪽 세그먼트의 속도는 같아야 하며, 신호를 받아서 그대로 전달하기 때문에 데이터의 오류에 대처할 방법이 없다. 
축적형 리피터는 비트 리피터의 기술을 확장한 것으로, 메모리 버퍼를 가지고 있으므로 속도가 서로 다른 LAN을 결합할 수 있고, 패킷 분석을 하지 않으므로 속도가 빠르고 경제적인 LAN을 구성할 수 있다. 
LAN 선로의 물리적 길이가 한계에 부딪쳤을 때 이를 물리적으로나 논리적으로 확장시켜 주는 장치로는 리피터 외에도 상위 수준의 장치로서 브리지(Bridge)와 라우터(Router)가 있다.


Router  : LAN-LAN연결 or LAN-WAN연결

:서로 다른 네트워크를 중계해주는 장치. 보내지는 송신정보에서 수신처 주소를 읽어 가장 적절한 통신통로를 지정하고, 다른 통신망으로 전송하는 장치를 말한다.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대규모 통신망을 쉽게 구성할 수 있으며, 다양한 경로를 따라 통신량을 분산시킬 수 있다.


서로 다른 네트워크를 연결하여 정보를 주고 받을 때, 송신정보(패킷:packet)에 담긴 수신처의 주소를 읽고 가장 적절한 통신통로를 이용하여 다른 통신망으로 전송하는 장치이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근거리통신망(랜;LAN)을 중계하거나 근거리통신망을 광역통신망(WAN)에 연결할 때 주로 사용한다. 인터넷을 접속할 때는 반드시 필요한 장비로서, 서로 다른프로토콜로 운영하는 통신망에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경로를 설정하는 역할을 제공하는 핵심적인 통신장비이다.

단순히 통신망을 연결해주는 브리지(bridge) 기능에 추가하여 경로 배정표에 따라 다른 통신망을 인식하여 경로를 배정하며, 수신된 패킷에 의하여 다른 통신망 또는 자신이 연결되어 있는 통신망 내의 수신처(노드)를 결정하여 여러 경로 중 가장 효율적인 경로를 선택하여 패킷을 보낸다. 통신 흐름을 제어하며 통신망 내부에 여러 보조 통신망을 구성하는 등의 다양한 통신망 관리기능을 수행한다. 

장점은 통신환경의 설정을 가능하게 하여 관리 방침에 따라 라우팅 방식을 결정하여 전체 네트워크의 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표준 논리에 따라 통신방법이 자동으로 결정되므로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통신방법에 구애받지 않으므로 대규모 통신망을 쉽게 구성할 수 있으며, 다양한 경로를 따라 통신량(트래픽;traffic)을 분산할 수 있다.

초기 환경설정이 어렵고, 특정한 프로토콜에 의존하므로 다양한 프로토콜 지원이 어려우며, 하위 프로토콜 지원이 불가능하고, 기능이 복잡하므로 가격이 비싸다는 단점이 있다.


Bridge : LAN-LAN연결

두 개의 근거리통신망(LAN)을 서로 연결해 주는 통신망 연결 장치로, OSI 참조 모델의 데이터 링크 계층에 속한다. 통신량을 조절하여 데이터가 다른 곳으로 가지 않도록 하며, 데이터를 재생성할 수 있다.

브리지(bridge)는 두 개의 근거리통신망(LAN)을 상호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통신망 연결 장치로서 OSI 참조 모델의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동작한다. 
두 개의 LAN을 연결한다는 점에서 리피터(Reapeter)와 같을 수도 있지만, 리피터가 모든 신호를 한꺼번에 보내서 통신량을 증가시키지만, 브리지는 통신량을 조정할 수 있다. 즉 통신하고자 하는 노드가 같은 통신망 안에 있을 경우는 데이터가 다른 통신망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리피터와 마찬가지로 데이터를 재생성할 수 있다는 점에서는 같지만 데이터를 재생성하는 위치가 다르다.

브리지는 ① 통신망의 범위와 길이를 확장할 때, ② 통신망에 더욱 많은 컴퓨터들을 연결시킬 때, ③ 통신망에 과다하게 연결된 컴퓨터들로 인한 병목현상을 줄이고자 할 때, ④ 서로 다른 물리적 매체(통신선로)를 구성된 통신망으로 연결할 때, ⑤ 이더넷(Ethernet)과 토큰링(Token Ring) 같은 서로 다른 통신망 구조의 통신망을 연결할 때 등에 사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는 로컬(Local) 브리지와 원격(Remote) 브리지로 구분한다. 로컬 브리지는 말 그대로 동일지역 내에서 다수의 LAN을 서로 연결할 때 쓰이는 것이고, 원격 브리지는 LAN과 광역통신망(WAN)을 연결하는 것으로 지역이 다르고 멀리 떨어져 있는 LAN을 연결하는 것이다. 지금은 라우터가 원격 브리지의 기능을 대신하고 있다.


Data Warehouse

정보(data)와 창고(warehouse)의 합성어. 기업의 정보 자산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하나의 패러다임으로서, 기업의 전략적 관점에서 효율적인 의사 결정을 지원하기 위해 데이터의 시계열적(時系列的) 축적과 통합을 목표로 하는 기술의 구조적ㆍ통합적 환경. 데이터 베이스가 여기저기 흩어져 있는 데이터 테이블을 연결하여 관리하는 방법론이라면, 데이터 웨어하우스는 방대한 조직 내에서 분산 운영되는 각각의 데이터 베이스 관리 시스템들을 효율적으로 통합하여 조정ㆍ관리하며, 효율적인 의사 결정 시스템을 위한 기초를 제공하는 실무적인 활용 방법론이다. 데이터 웨어하우스의 구성은 관리 하드웨어, 관리 소프트웨어, 추출ㆍ변환ㆍ정렬 도구, 데이터 베이스 마케팅 시스템메타 데이터(meta data),최종 사용자 접근 및 활용 도구 등으로 구성된다. 데이터 웨어하우스는 경영자의 의사 결정을 지원하는 주제 지향적(subjectoriented), 통합적(integrated), 시계열적(timevarient) 그리고 비휘발적(nonvolatile) 데이터의 집합체이다. 주제 지향적에서 주제는 의사 결정 지원 시스템에서 분석하고자 하는 주제를 의미하며, 통합적이란 데이터 웨어하우스에서 발견되는 모든 자료는 언제나 예외없이 통합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시계열적이란 자료의 내용이 시간에 따라 변경되더라도 변경 전의 내용은 계속 관리해야 함을 의미하며, 비휘발성이란 데이터 웨어하우스에 일단 적재된 데이터는 가동 또는 변경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일반적인 데이터 웨어하우스 구조는 데이터의 저장고(repository)에 해당하는 부분과 데이터 웨어하우스의 데이터를 다양한 방식으로 액세스하게 되는 데이터 웨어하우스 응용으로 나눌 수 있다.

Optical fiber

:투명한 섬유 상태의 물질에 광에너지를 집어넣고, 광전송을 행하는 전송로. 광신호, 광에너지는 경계면에 있어서 전반사, 또는 굴절률 기울기에 의한 파형을 반복하여 전송한다. 광통신 방식의 전송로에 이용되며 최근에 급속히 발전했다. 재료로는 석영 유리나 다성분계 유리가 쓰이고 중심부는 코어라고 하는 굴절률이 큰 부분으로, 클래더(cladder)라고 불리는 굴절률이 작은 부분에 따라 여러 구조로 되어 있다. 그 것에 의해 빛이 코어 안에 닫히게 된다. 고속도의 근거리 네트워크(LAN) 등의 전송 매체로서 급속하게 이용이 확산되고 있다. 코어의 지름은 수 ㎛~ 수십 ㎛, 클래더 부의 지름은 100~200㎛가 보통이다. 따라서 지름이 작아서 가볍고 구부러지기 쉽다. 또 저손실(0.2dB/km), 광대역으로 광원으로는 최근에 발달한 반도체 레이저를 이용한다. 실용상 무유도(無誘導)이다. 빛의 모드로서 단일 모드용인 것과 다(多)모드용인 것 등이 있다. 최근에 컴퓨터 사이 및 단말을 연결하는 데이터 하이웨이로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통상의 케이블에 비해 손실이 적고, 한 번에 대량의 데이터를 보낼 수 있다. 보통은 광섬유의 강도를 강하게 하기 위해 플라스틱의 프라이슬리 코드나 나일론 코드를 시설하고 그것을 몇 개 이상 모아 광섬유 케이블로 사용한다.


RDBMS [Relative DBMS]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시스템


Gateway : Network(망)연결

복수의 컴퓨터와 근거리 통신망(LAN ; local area network) 등을 상호 접속할 때 컴퓨터와 공중 통신망, LAN과 공중 통신망 등을 접속하는 장치를 가리킨다. 실제로는 미니컴퓨터 등이 사용되고 있으며, 게이트웨이 프로세서(gateway processor)라고도 불린다. 일반적으로 컴퓨터와 단말기를 공중 통신망을 경유하여 접속할 경우에는 게이트웨이로서는 대규모 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그러나 네트워크 간 통신을 행할 때에는 통신 속도의 제어, 트래픽 제어, 네트워크 사이에서의 컴퓨터 어드레스의 변환 등 복잡한 처리를 행하기 때문에 게이트웨이 프로세서로서는 적지 않게 미니컴퓨터 정도의 능력을 갖는 장치가 필요하게 된다. 요즘은 원래의 정의 대신에 「라우터(router)」라는 용어가 대신 사용된다. 게이트웨이는 자체 프로세서와 메모리를 가지고 있으며, 프로토콜 변환이나 대역폭 변환을 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게이트웨이는 근거리 통신망 프로토콜이 하나 이상 설치되어 있는 큰 규모의 네트워크에서 볼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키네틱 사의 패스트패스(fastpath)라는 애플토크(AppleTalk)와 이더넷(Ethernet) 네트워크를 연결할 수 있다.게이트웨이를 이용한 네트워크의 구성


Ethernet

미국의 DEC, 인텔, 제록스(Xerox) 3사가 공동 개발한 구내 정보 통신망(LAN)의 모델. 데이터 단말(data station) 간의 거리 약 2.5km 내에서 최대 1,024개의 데이터 단말 상호 간에 10Mbps의 전송 속도로 정보를 교환할 수 있는 지역적인네트워크로, IEEE 802.3 표준을 구현한 모델의 하나이다. 사용 케이블은 10BASE 5, 10 BASE 2 및 10 BASE-T 등이 있으나 주로 사용되는 것은 배선 공사가 용이하고 관리 및 안전성 등이 우수한 10BASE-T이다. 최근에는 대역폭이 100Mbps인 고속 이더넷도 등장했다.


BroadBand 광대역

기술 개발에 따라 범위도 확대되는 상대적 개념으로서, 보통보다 아주 넓거나 빠른 대역. 주파수 이외에도 데이터 속도나 공간 개념 등을 나타낼 때에도 사용된다. 개념상, 협대역(narrowband)의 반대말인 동종(homogeneous)이고 제한적 의미의 광대역(wideband)보다는 다중, 복합적(heterogeneous)이고 개방된 의미의 광대역(broadband)이 더 넓은 대역을 의미한다.


hashing

:키에서 주소로의 변환(key-to-address transformation). 다른 검색 방법처럼 키값을 비교하면서 찾는 것이 아니라 키값에 어떤 연산을 시행하여 이 키값이 있는 기억 장소의 주소로 바로 접근하는 방법으로 직접 파일 구성에 이용된다. 해싱은 각 레코드의 키값을 비교해서 찾는 번거로움이 없고, 다른 검색 방법보다 많은 기억 장소를 차지하지만 과잉 상태가 발생하지 않으면 원하는 레코드를 단 한 번의 접근(access)으로 찾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모든 레코드의 키값을 수치 형태로 바꾸어야 하며, 적절한 해싱 함수를 구해야 할 뿐만 아니라 계산된 주소의 중복(충돌)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Hashing Function 해싱함수

키값을 기억 장소의 주소로 변환하는데 사용하는 함수로, 레코드를 저장할 버킷(bucket)의 주소를 산출한다. 좋은 해싱 함수가 되려면 계산이 빠르고 쉬워야 하며 계산된 주소의 중복이 적어야 한다. 대표적인 해싱 함수로는 숫자 분석법(digit analysis), 제곱 중간법(mid-square), 나누는 방법(division), 접는 방법(folding), 기수 변환법(radix conversion) 등이 있다.

해싱 함수


Polling

:컴퓨터 또는 단말 제어 장치 등에서 여러 개의 단말 장치에 대하여 차례로 송신 요구의 유무를 문의하고, 요구가 있을 경우에는 그 단말 장치에 송신을 시작하도록 명령하며, 없을 때에는 다음 단말 장치에 문의하는 전송 제어 방식. 문의 신호에 포함되는 단말 장치의 주소로 단말 장치가 지정되는데 단말 장치 쪽에서는, 예를 들면 송신 요구가 있을 때에는 데이터를 송신하고 없을 때에는 전송 끝(EOT) 문자를 송신한다. 이 방식에서는 데이터 단말 장치가 제어국으로부터 명령을 받게 될 때까지는 데이터의 송신을 시작하지 않는다. 이 방식은 분기 방식으로 구성된 회선에 적용할 수 있으며, 데이터 처리 센터 시스템 내의 데이터의 흐름을 제어하였을 경우, 컴퓨터 등의 처리 능력에 따라 문의할 수 있게 된다. 일반적으로 선택과 병행하여 사용된다.


Microbrowser

:무선 장비에 내장된 브라우저. 이동 장비를 사용하여 인터넷 접속 및 주식 정보, 뉴스, 스포츠 기록 등 특정한 형태의 콘텐츠를 볼 수 있는 소프트웨어이다.


ISV [Independent software vendor]

:특정 하드웨어나 제조업체에 의존하지 않고도 여러 컴퓨터상에서 동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는 소프트웨어 벤더. 예전에는 특정 제조업체의 컴퓨터에서만 동작하는 소프트웨어가 일반적이었으나, 개방 시스템화의 진전에 따라 특정 컴퓨터 제조업체에 의존하지 않는 ISV가 각광을 받게 되었다. 컴퓨터 제조업체에 따라서는 자사의 하드웨어상에서만 동작하는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고 있는데, 이것은 자사의 소프트웨어 판매 촉진과 밀접한 관계가 있기 때문에 ISV를 중요한 파트너로 인정하게 되었다.


instant messaging

: 네트워크 상에서 간단한 메시지나 파일의 송수신이 가능한 소프트웨어의 총칭. 대표적인 IM으로는 ICQ, MSN 메신저, 버디버디, 소프트 메신저, AIM, Yahoo! 메신저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