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Hot Issues

[Hot Issues] 먹어도 되나 안되나, '맛가루'소동



밥에 뿌려 먹는 이른바 '맛가루', 이제 안심하고 먹어도 되는가. 경찰과 식품의약품안전처가 맛가루의 안전성에 대해 서로 다른 말을 해 소비자를 헷갈리게 하고 있다. 경찰은 얼마 전 '사료용 원료'를 사용한 만큼 비위생적이니 먹지 말라 했으나 식약처는 어제 인체에 해롭지 않으니 괜찮다고 발표했다. 누구 말에 장단을 맞춰야 할지 혼란스럽다. 정부 기관이 소비자 불안과 혼란을 부추긴 꼴이다. 
 
경찰은 지난 2일 한 업체가 전복과 가축 사료용 다시마 분말, 말린 채소 등으로 만든 불량 식자재를 맛가루 제조업체 230여곳에 납품했다고 발표했다. 소비자들이 불안에 휩싸인 것은 당연하다. 그런데 식약처는 어제 경찰 발표와 상반된 결과를 내놨다. 적발된 업체와 제품을 조사한 결과 질 낮은 재료를 사용한 것은 맞지만 완제품 자체는 인체에 해롭지 않아 먹어도 탈이 없다는 것이다. 
 
식약처의 위해성 확인을 거치지 않은 경찰의 발표가 성급했던 건 사실이다. 하지만 식약처의 조사 결과도 문제가 있다. 완제품 못지않게 식품 원료의 건전성도 중요하다. 사료용 불량 재료를 쓴 것은 안전성 여부를 떠나 변명의 여지가 없다. 정홍원 국무총리가 위해성 기준에 어긋나지 않더라도 저질 원료를 쓴 제품을 단속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라고 식약처에 지시한 것은 그 때문 아닌가.
 
맛가루 재료에는 담배꽁초와 도로 포장재로 쓰이는 아스콘 등 이물질까지 섞여 있었다고 한다. 값싼 재료에 폐기물까지 섞여 있던 비위생적인 원료로 만든 맛가루에 대해 가공처리를 엄격하게 했으니 위해성이 없다고 강조하는 건 식품 위생과 안전을 책임진 식약처가 취할 태도가 아니다. 일부 소비자들이 '업체를 두둔하느냐'고 반발하는 이유를 헤아려야 한다. 
 
소비자 안전을 위협하는 먹을거리 위해성에 관한 발표는 신중해야 한다. 확인 없이 성급하게 공개해 소비자를 불안케 해서는 안 된다. 경찰은 발표 전에 식약처에 알려 관련 업체들을 조사하도록 했어야 했다. 설익은 발표로 소비자 불안이 커지고 사태와 관련 없는 업체까지 피해를 입었다. 제조 과정이 어떻든 완제품에 문제만 없으면 된다는 식의 식약처 사고도 바꿔야 한다. 식품 안전 관련 발표는 선(先) 안전성 조사, 후(後) 공식 발표의 원칙 아래 창구를 일원화할 필요가 있다.